↑ AP=연합뉴스 |
카멜레온은 환경과 똑같이 몸 색깔을 바꿔 위장하고 360도 파노라마 시야를 가동하며 발군의 인내심까지 뽐내는 사냥꾼입니다.
그 놀랍도록 효과적인 사냥 기술 중에서 번개처럼 빠른 혓바닥 놀림은 결코 빼놓을 수 없습니다.
혀를 채찍처럼 휘둘러 먹잇감을 잡아들이는 카멜레온의 사냥술은 오랫동안 광범위하게 연구돼왔습니다.
하지만 핵심기술은 미스터리로 남아 있었습니다.
그렇게 빨리 혀를 놀리면서 도대체 어떻게 먹잇감을 혀에 붙이는 것일까.
공기와 함께 빨아들인다는 흡착설, 끈끈이 같은 게 있다는 접착설, 벨크로처럼 많은 미세한 고리를 건다는 찍찍이설 등 여러 가설이 난무했습니다.
벨기에와 프랑스 과학자들은 그 비결이 카멜레온의 혀끝에 있는 점액이라는 사실을 확인한 논문을 20일(현지시간) 과학저널 네이처에 게재했습니다.
공동저자인 벨기에 몽스 대학의 파스칼 다망 교수는 "카멜레온의 혀에 있는 점액의 끈적거리는 정도가 사람 침(타액)의 1천 배에 달한다는 데 놀랐다"고 말했습니다.
다망 교수는 카멜레온 침의 점도나 밀도를 연구한 논문은 예전에 하나도 없었다고 강조했습니다.
연구진은 접착의 강도를 계산할 수 있는 공식을 개발해 카멜레온의 침이 물리학적으로 발휘하는 힘을 측정했습니다.
다망 교수는 "여러 사람이 생각한 것과 달리 카멜레온 침 정도의 점성이라면 자신보다 큰 먹잇감도 충분히 끌어당길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카멜레온의 혓바닥이 사냥할 정도로 충분히 끈적하다는 사실은 확인됐으나 이 지점에서 또 다른 미스터리가 파생됐습니다.
도대체 붙은 먹이를 입안에서는 어떻게 풀어놓는 것인지 과학자들은 아직 확실한 답변을 내놓지 못하고 있습니다.
다망 교수는 "아직 가설"이라며 "입안 어딘가에서 끈적거리지 않는 보통 때의 침을 분비해 접착을 푸는
혀에서 먹잇감이 떨어질 때까지 마냥 기다린다는 설도 있습니다.
과학자들은 카멜레온이 먹잇감을 더 강하게 낚아챌수록 혀의 접착력은 더 높아지고, 혀에 긴장이 풀리면 접착력이 떨어져 먹이와 함께 혀를 씹는 일이 없다는 사실만은 일단 확인한 상태입니다.
[MBN 뉴스센터 / mbnreporter01@mb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