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 크세니아와 홍 옥사나(왼쪽부터)가 한국어 교재를 펼치고 웃음 짓고 있다. <이충우 기자> |
카자흐스탄 출생의 조 크세니아(26)씨와 러시아에서 태어난 홍 옥사나(22)씨는 모두 한국인 부모님을 둔 고려인 4세대다. 그러나 그들의 부모님은 한국어를 전혀 하지 못한다. 일제 강점기라는 당시 격동의 시대에 러시아·카자흐로 건너갔던 증조부에서 조부세대를 거치는 한 세기 세월 속에서 그들의 부모는 한국어를 잃어버렸다. 그러나 조씨와 홍씨는 다시 ‘시간’을 거슬러 올라가 모국어를 되찾았다.
스스로 관심을 갖고 익힌 것을 넘어 이제 현지에서 수백명 규모의 제5세대 고려인을 비롯해 오리지널 현지인에게까지 한국어와 역사, 문화를 가르치는 ‘코리아 전도사’로 맹활약 중이다. 이들은 2016년 독립국가연합(CIS) 지역 한국어 교사 초청연수에 참여차 최근 한국을 방문했다.
홍씨는 어린 시절 작은 오빠를 따라 한글학교에 가게 된 계기로 한글과의 인연이 시작됐다. 홍씨 오빠는 도중에 한글학교를 그만두고 의사의 길을 걷게 됐지만 홍씨는 한국·드라마·음악 등 대중문화를 접하면서 더욱 한국어에 대한 열정을 키웠고 결국 교사로 직업까지 선택하게 됐다.
조 씨는 홍씨에 비해 더 늦게 한글을 배웠다. 그는 영어교사인 어머니 영향으로 언어공부에 흥미를 가졌지만 아버지 권유로 대학서 경제학을 전공했다.
조씨는 “고려인인 할머니가 한글을 가르쳐 줬고 대학시절 한국센터에서 어린이 한국어 보조교사로 일하며 경험을 쌓았던 것이 큰 도움이 됐다”고 말했다.
홍씨는 어렸을때 부모님이 ‘너는 고려인이다’ 말을 하셨지만 귀담아 듣진 않았다고 한다. 그러나 언어를 배우고 한류 문화에 점점 끌리는 자신을 발견하면서 ‘아, 나도 한국인인가 보다’라고 깨닫는 순간이 왔다는 게 그의 얘기다. 조씨는 “고려인은 카자흐에선 한국인, 한국에 오면 카자흐 사람이 되는 특수성이 있다”며 “지금은 여기서 사는 게 더 낫지 않을까 하는 막연한 생각도 있다”고 털어놨다.
그들이 한국에 와서 생활하면서 느낀 아쉬움 중 하나는 뜻을 알 수 없는 ‘외계어’와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서 축약해 사용하는 ‘통신어’가 남용되는 점이다. 대표적인 게 ‘낄끼빠빠’(낄때끼고 빠질때 빠져라), ‘복세편살’(복잡한 세상 편하게 살자) 등이다. 홍씨는 “한국 친구가 ‘오늘 00이 생파(‘생일 파티’를 줄여 부른말)한다’ 했을때 무슨 말인지 몰라 사전을 찾아봤다”고 말했다. 조씨도 “언어는 자연그대로일 때가 가장 아름답다. 줄임말, 유행어부터 배우면 바르게 언어를 고치기가 힘들고 학생들의 사고습관도 ‘빨리빨리’ 식으로 흘러가게 되어 있다”고 설명했다.
홍씨와 조씨 모두 수업시간에 K-POP과 드라마를 교재로 많이 사용한다고 입을 모았다. 조씨는 “카자흐 사람들은 한국어의 문법, 발음이 카자흐어와 비슷해 다른 나라 사람들보다 훨씬 빨리 한글과 한국어를 익힌다”며 “많은 학생들이 한국사람 처럼 보이고 싶어해 한국식 화장을 하고 한국사람 처럼 옷을 입고 있다”고 말했다.
홍씨는 “옛날에 고려인들이 외부인이라 박해받았다는 얘기가 있었지만 지금은 ‘고려인은 성실하고 공부를 잘 한다’는 이미지가 대세로 자리 잡았다”며 “나 역시 ‘너 고려 사람인데 왜 공부를 그것 밖에 못해’라는 말을 들었을 정도”라며 농담반 진담반 말을 전했다.
이들은 현지에서 한국어를 가르치면서 가장 큰 애로사항으로 교육교재 부족을 꼽았다. 러시아와 카자흐 모두 몇 년 전 러시아어로 된 한국어 교제가 1급부터 6급까지 나와 예전보다 상황은 좋아 졌지만 실제 한국인들의 정확한 발음을 가르쳐 줄수 있는 시청
한편, 올해 7월 현재 기준 러시아·CIS 지역에선 러시아, 벨라루스, 아제르바이잔, 우즈베키스탄, 우크라이나, 몰도바, 카자흐스탄, 키르기즈공화국, 타지키스탄 등 총 9개국에 213개의 한글학교가 운영 중이다. [유준호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