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내놓은 긴급재난문자 개선책에도 여전히 1000만이 넘는 3세대(3G) 휴대폰 사용자는 해당 문자를 받지 못해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특히 3G 휴대폰 사용자에는 고령층이 많아 신속하게 재난문자를 받아야하지만 그렇지 못해 문제란 지적이다.
김희겸 안전처 재난관리실장은 지난 4일 “긴급재난문자의 발송 주체가 안전처에서 기상청으로 바뀐다”고 밝혔다. 긴급재난문자는 지금까지 기상청의 지진 발생 통보를 받아 안전처에서 발송했지만 11월부터는 기상청이 직접 발송하게 된다. 시행되면 시간이 2~3분 정도 단축 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기술적인 문제로 3G 휴대폰 사용자(1190만명)는 여전히 정부가 보낸 긴급 재난 문자를 받을 수 없다. 물론 국민안전처의 ‘안전디딤돌’ 앱을 다운받으면 받을 수 있다 하지만 이 앱을 다운받은 사람이 3G 휴대폰 사용자의 15%에 불과하고 스마트폰이 아닌 3G 휴대폰에는 설치조차 불가능하다.
2006년부터 국민안전처에서 시행되고 있는 긴급재난문자는 일반인들이 사용하고 있는 일반 문자메시지(SMS)가 아닌 셀 방송서비스(CBS)라는 방식을 이용하고 있다. CBS란 전화번호나 거주지역정보가 없어도 특정 지역 내에 있는 이동전화 가입자에게 동시에 메시지를 보내는 서비스를 말한다.
개발 당시 2세대(2G) 휴대폰과 2013년 1월부터 출시된 4세대(4G) 휴대폰은 긴급재난문자를 받을 수 있지만 스마트폰의 초창기 모델인 3세대(3G) 휴대폰은 서비스를 받지 못하는 것.
3G 휴대폰 사용자는 1190만명에 이르며 사용자 중에는 고령층이 많다.
5일 남부지방에 발생한 태풍에 관해서도 재난문자가
안전처는 “지금으로선 스마트폰 앱을 홍보하는 것 외에는 대안이 없다”며 “지난달 발생한 경주 지진 때 재난 문자를 받지 못한 사람의 대다수가 이 앱을 깔지 않은 3G 휴대폰 사용자”라고 밝혔다.
[디지털뉴스국 박상원 인턴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