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당 연구는 2017년 12월 완료한 '강마을'이라는 개념을 중심으로 수행한 최초의 연구보고서로 전국 172개 시군구(2911개 읍면동)에 분포해 있는 내륙어촌의 강마을에 대한 개념을 규정하고 심층적으로 분석했다.
국토의 5.7%에 해당하는 내륙어촌 강마을은 정부의 해면 중심 어촌정책으로 항상 소외된 점을 고려하면 상당한 의미를 가진 연구라는 평가다.
보고서에 따르면 강원도 원주시에 있는 섬강의 경우 전기를 이용해 물속의 모든 어종을 유어·성어 구분없이 포획하는 '배터리를 활용한 불법포획'이 암암리에 이뤄지고 있다. 배터리를 사용한 어획법은 고무보트로 강 중간에 위치해 차량용 배터리 등을 코일을 감은 증폭기를 활용해 순간적으로 최대 1만 볼트에 가까운 전류를 흘려보내 기절한 물고기를 포획하는 방법이다. 이는 인근의 모든 생명체에 전기 충격을 가하게 돼 설령 거리가 멀어 살아남는다고 하더라도 산란에 문제가 생기는 등 심각한 생태계 교란을 일으킨다. 내수면어업법 19조 유해어업법의 금지의 시행령에 따라 금지된 어로활동이지만 광범위한 수사 범위로 단속이 쉽지 않은 실정이다.
산란기에 강으로 돌아오는 어류들을 노리는 '돌무덤을 이용한 포획'도 심각하다.
산란기에 강 곳곳에 어류들이 쉴 수 있도록 쉼터의 형태로 돌을 쌓아 조성한 뒤 일정시간이 지나 그물로 돌무덤 주변을 감아 포획하는 어획법이다. 해양에서는 산란기 어획 자체를 법으로 금지하고 있지만 내륙에서는 관련 단속을 할 법적 근거가 미비한 실정이다.
이 외에도 대부분의 내수면 어업계가 공통적으로 불법어로 행위, 낚시활동으로 인한 쓰레기 유입 등의 문제로 고통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충남 아산시에 위치한 아산호의 경우 모래준설이 이뤄지면서 생태환경이 황폐화 되고 수심이 깊어지며 등장한 강준치, 누치 등으로 인한 생태계 교란, 또한 이들 어종을 노리는 낚시꾼들이 늘어나면서 유입된 쓰레기 문제로 마을이 몸살을 앓고 있다.
김현권 의원은 "강마을은 바다와 강을
[디지털뉴스국 류영상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