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메달 깨물기' 포즈의 유래는?…오호라!
↑ 사진=연합뉴스 |
지난 12일(한국시간) 브라질 리우의 삼보드로무 경기장.
2016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 여자 양궁 개인전 결승에서 장혜진(LH)이 금맥을 캔 곳입니다.
시상대에 오른 장혜진은 사진기자들의 포즈 요청에 방긋 웃으며 목에 건 금메달을 앞니로 살짝 물어 보였습니다.
'금메달 깨물기' 세리머니는 올림픽 메달리스트들이라면 누구나 한 번쯤 해봤을 법합니다.
올림픽 무대뿐만 아니라 일반 스포츠 경기에서도 자주 목격됩니다.
리우올림픽 테니스 남자단식에 출전한 라파엘 나달(스페인)은 메달뿐만 아니라 우승 트로피까지 깨무는 세리머니를 펼치는 것으로 유명합니다.
'메달 깨물기' 세리머니는 언제 무슨 이유로 시작됐을까?
정확한 해답은 없습니다. 그저 다양한 추론만 있을 뿐입니다.
재미있는 사례는 "우승 사실이 꿈인지 생시인지 확인하려고 깨물어본다"라는 것입니다. 아무런 근거는 없지만, 일부 네티즌은 이 주장에 공감하기도 합니다.
가장 그럴듯한 추정은 데이비드 월레친스키 '국제 올림픽 역사학자 소사이어티'(ISOH) 회장이 내놨습니다.
최근 미국 CNN 인터뷰에서 '메달 씹기' 세리머니는 사진기자 요구에서 시작됐을 것으로 추정했습니다.
월레친스키 회장은 "메달로 할 수 있는 세리머니가 그리 많지 않다"며 "기분 좋아진 금메달리스트가 사진기자 요청을 받고 메달을 깨무는 동작을 취해준 것 같다"고 설명했습니다.
'금메달 깨물기' 포즈는 사진기자들에게 '강박 관행'이 됐다는 분석도 했습니다.
그는 "독자들에게 어필하는 가장 상징적인 동작을 메달 깨물기로 생각합니다. 선수들은 사진기자가 시키지 않았다면 그런 행동을 하지 않았을 것"이라고 역설했습니다.
이 추론은 동의하는 사람이 가장 많은 듯합니다.
동조자가 적잖은 다른 견해도 있습니다.
가짜 금속 화폐를 식별하는 간단한 방법인 '씹어보기'가 자연스레 금메달 수상 포즈에 영향을 미쳤다는 해석입니다.
금은 다른 금속보다 약해 이로 물면 금방 자국이 남습니다. 이런 특징은 메달 깨물기가 원시적 금 판별법에서 비롯됐다는 추론에 힘을 보탭니다.
금메달 성분을 알면 신빙성이 확 떨어집니다.
최근 50년 동안 치러진 올림픽에서 금메달은 '빛깔만 금'이었습니다.
리우올림픽 금메달에 포함된 실제 금 비율은 1%(6g) 남짓합니다. 나머지 93%는 은이고 6%가 동입니다. 워낙 단단해서 깨물어도 자국이 남지 않습니다.
메달의 금 함량이 준 것은 2차 대전 이후로 알려졌습니다.
1904년 세인트
다만, 이들 메달의 크기는 작았습니다. 금 가격이 너무 비쌌기 때문이었습니다. 그때는 금인지 확인하려고 치아로 깨물어봤을 수도 있어 보입니다.
[MBN 뉴스센터 / mbnreporter01@mb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