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인차와 무인기 등 무인이동체(Unmanned vehicle)는 IT 연관성이 높아 IT 경쟁력이 높은 한국에 유리한 미래산업이다. 정부가 무인기(드론)를 미래 수송기계의 핵심으로 보고 성장동력 산업으로 발전시키려는 것도 이 때문이다.
현재 글로벌 무인기 시장은 지난 2014년 기준 53억1000만달러 규모로 10년 후인 2024년에는 124억7000만달러까지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 가운데 90% 이상이 군용 무인기이지만 시장 성장률은 민간 시장이 연평균 35%로 빠르다.
현재 정부는 산업자원통상부와 미래창조과학부, 국토교통부 등 관련부처에서 각종 규제와 제도를 정비하고 있다. 다만 틸트로터(다수의 프로펠러를 장착한 수직이착륙형 무인기)나 무인차·무인기 겸용 이동체 등 발전방향이 다양해 이를 하나의 ‘무인기 플랫폼’으로 묶여 제도를 정비하기가 쉽지 않다고 한다.
한국은 중대형 무인기(주로 군사용)는 세계 7위권 시장이지만, 소형 무인기는 경쟁력이 부족하다. 국내외 소형무인기 업체 매출을 보면 2014년 기준 중국 DJI 5000억원, 프랑스 패럿 1370억원, 미국 3DR 500억원 수준이다. 하지만 국내 A사는 아직 7억원에 불과하다.
비행체나 부품 가격은 중국업체에 밀리고, 센서와 모터류 등 핵심 기술경쟁력은 미국·이스라엘 등 무인기 선진국보다 뒤처지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정부는 무인기 산업육성 전략을 기존 기술중심에서 민간 수요창출 중심으로 전환하고 있다.
우선 정부는 민간 수요창출을 위해 시범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공공분야의 무인기 활용수요를 국내 무인기 시장창출 마중물로 활용하기 위해 지능형 로봇 보급사업 예산 108억원을 올해 무인기 시범사업에 투입한다. 이미 개발된 군용 무인기를 개량해 개발비를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재난구호와 감시보안, 물품 배송 등 민간 수요로 전환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공공기관의 민간 무인기 조달을 확대하고, 비행시간이나 중량·비행가능 풍속 등 규제도 완화한다. 또 올해말 어군탐지 무인기는 시연을 거쳐 판매를 담당할 전문운용사(SPC) 설립을 유도하고 농약살포 무인기는 단위농협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가격인하를 유도한다.
민간 투자기관의 금융조달을 위해 ‘무인기산업 투자 유치포럼’도 올해 개최한다. 이를 통해 무인기업체는 스타트업 단계부터 벤처캐피탈(VC) 등의 투자를 받아 마케팅 능력을 키워 국내 뿐만 아니라 글로벌 시장을 본격 공략한다는 전략이다.
[서찬동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