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대 저소득층 자영업자 가구가 가계부채 문제의 핵심 위험요인으로 떠올랐다.
한국은행이 2015 가계금융·복지조사를 활용해 지난 1년간 한계가구 및 부실위험가구 변동상황을 파악한 결과, 지난해 3월말 기준 전체 금융부채 보유가구(1072만가구) 중 한계가구와 부실위험가구로 중복 판별된 가구는 54만가구인 것으로 집계됐다고 4일 밝혔다. 중복 판별 가구의 특성을 살펴보면 소득분위별로는 저소득층, 연령별로는 40대, 직업별로는 자영업자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계가구는 순금융자산이 마이너스인 동시에 처분가능소득 대비 원리금상환액(DSR) 비중이 40%를 초과하는 가구다. 부실위험가구는 총부채금액을 자산평가액으로 나눠 산정한 부채대비자산비율(DTA)을 DSR과 결합해 산정한 가계부실위험지수(HDRI)가 100을 넘는 가구를 가리킨다. 부실위험가구가 주택 등 실물자산이 포함된 총자산과 임대보증금 등 비금융부채를 넣은 총부채를 기준으로 한다는 점에서 좀 더 포괄적인 개념이지만 한계가구는 실물자산 처분 없이 단기간에 부채를 상환할 수 없는 가구를 식별한다는 점에서 유동성 기준 채무상환능력을 평가한다고 볼 수 있다. 전체 금융부채 보유가구(1072만가구) 중 한계가구는 12.5%에 해당하는 134만가구, 부실위험가구는 10.4%인 111만가구에 달하는 상황이다.
한은 측은 한계가구와 부실위험가구로 중복 판별된 가구가 54만가구 정도로 상당수가 중복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두 개념이 상호보완적 측면이 있다는 입장이다. 중복 판별된 가구의 특성별 비중을 살펴보면 소득5분위 기준 1·2분위의 저소득층 비중이 40%, 연령별로는 40대가 38
[정의현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