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직인수위원들은 인선 발표와 함께 '박근혜 정부'의 '신주류'로 떠올랐습니다.
역대 인수위원들이 어떻게 정부 실세로 자리매김했는지 김은미 기자가 알아봤습니다.
【 기자 】
역대 인수위원회는 정권의 요직을 배출하는 산실이었습니다.
지난 17대 이명박 대통령 인수위에서는 무려 12명이나 청와대와 정부 요직에 진출했습니다.
박재완 기획재정부 장관과 맹형규 행정안전부 장관, 이주호 교육과학기술부 장관 등 당시 대통령직인수위원의 대부분은 현 정부에서 대거 장관과 기관장으로 임명됐습니다.
특히, 백용호 대통령실 정책실장은 공정거래위원장과 국세청장 등 각종 요직을 두루 거치기도 했습니다.
제16대 노무현 대통령 인수위도 마찬가지였습니다.
임채정 당시 인수위원장은 노무현 정권에서 국회의장을 지냈고, 김진표 당시 부위원장은 재정경제부 장관을 거쳐 교육부총리에도 중용됐습니다.
15대 김대중 정부도 상황은 다르지 않습니다.
역대 정부가 들어설 때마다 논공행상 논란이 반복되는 이유입니다.
그렇다면 '박근혜 정부'는 어떨까?
전문가들은 차기 정부의 성공적인 국정 운영을 위해서는 내각도 이번 인수위처럼 전문성을 중심으로 구성돼야 한다고 강조합니다.
▶ 인터뷰 : 김관옥 / 계명대 정치외교학과 교수
- "전문성을 중심으로 해서, 역량을 중심으로 해서 내각 구성을 한다면 논공행상의 우려를 불식시킬 수 있는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
친박을 배제한 실무형 인수위 구성으로 첫번째 관문을 통과한 박근혜 당선인이 내각 구성이란 2차 관문을 어떻게 넘길지 국민들의 관심이 집중됩니다.
MBN뉴스 김은미입니다.
영상취재 : 김석호 기자
영상편집 : 윤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