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적으로 국내에 유입되는 미세먼지는 중국발 스모그로 알려져 있다. 석탄이나 자동차 매연, 건설 현장의 분진 등이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하지만 오기출 푸른아시아 사무총장은 “국내 황사의 발원지는 중국이 아닌 몽골로 봐야한다”고 진단했다.
그는 “지난해 1월부터 5월까지 15일동안 황사가 발생했는데 이중 직접적인 중국발 황사는 2차례에 그쳤다”면서 “나머지는 몽골에서부터 넘어온 것이다. 몽골에서 발생한 황사가 중국을 거치면서 대기오염과 뭉쳐 ‘오염황사’로 국내에 유입된다”고 설명했다.
그에 따르면 국내 황사는 몽골의 사막화와 중국의 대기오염이 합쳐진 것이다. 중국의 대기오염이 자국의 산업발전 탓인 반면 몽골의 사막화는 주변국가의 공업화 영향이 크다. 남의 나라 문제같지만 아시아가 공동기후권이라는 점에서 국내에서도 이에 대한 대응과 대책이 필요하다는 게 그의 주장이다.
오 사무총장은 “동북아 지역의 사막화가 생각보다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면서 “정부·NGO(비정부기구)·기업이 공동의 목표를 갖고 대응 방안을 빠르게 모색해야 하지만 1990년대 동북아 다자간환경협력이 논의되고 회의기구가 생겨난 이후 아직까지도 정보 교환과 공동 조사 정도의 예비 단계에 머무르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를 위해 제시된 것이 테라시아(TerrAsia) 프로젝트다. 테라시아는 사막화와 황사 방지를 위한 범아시아네트워크로 땅의 의미하는 테라(Terra)와 아시아(Asia)가 결합된 말이다. 지난 2005년 아프리카와 유럽은 토지황폐화 방지책을 모색하기 위해 강력한 사막화방지계획인 테라프리카(Terrafrica)를 발표한 바 있다.
사무총장은 “UN환경계획(UNEP)에 따르면 대륙별 사막화는 아프리카보다 아시아에서 속도가 더 빠르다”면서 “동아시아와 중앙아시아로 연결된 사막화벨트와 황사벨트를 따라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UN이 황사 진원지로 밝힌 볼간아이막, 고비사막, 알타이산맥 남쪽, 헝가이산맥 남쪽, 자민우드에도 같은 대응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아시아 각국 정부와 NGO, 기업이 동참해 10억 그루의 나무를 아시아에 심어야 한다고 강조한다. 황사에는 국경이 없기 때문이다.
최근 이슈가 끊이지 않는 탄소배출권 문제와 관련해서도 그는 같은 목소리를 냈다.
오 사무총장은 “교토기후협약 당시에는 선진국만 포함됐지만 이번 파리기후협약에는 개발도상국과 최저개발국도 포함됐다는 점에서 기후에 대한 전지구적 문제의식이 생겨난 것”이라며 “한국의 경우 이번 협약에 따라 오는 2030년 기준 BAU(온실가스배출 전망)를 37%를 줄여야 하지만 정부와 기업이 안일한 대응을 이어가고 있다”고 주장했다.
한국은 세계 온실가스 배출 국가 순위 7위다. 순위에 비해 목표 감량치가 낮은 만큼 국제사회는 곧 더 높은 목표를 요구할 것이고 실현하지 못할 경우 국내 기업이 무역보복을 당할 수 있다는 게 그의 입장이다. 특히 온실가스 이력제가 실시되면 국경세가 될 가능성이 높은만큼 기업은 탄소배출권을 구입하거나 청정 에너지 도입 등 관련 개발을 추진해 이를 대비해야 한다.
그는 “현재 기업은 더이상 에너지 효율성을 줄일 수 없다고 정부에 읍소만 하고 있다”면서 “하지만 더이상 탄소배출권 문제는 한국 내에서 풀기 어렵다. 국제사회가 정한 규칙을 따라야 하는 만큼 관련대책이 시급하다”고 밝혔다.
오 사무총장은 “미국 일부 기업은 이미 해
[디지털뉴스국 배윤경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