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의료기기 시장은 고령화현상에 따른 의료비 급등, 치료중심에서 예방중심으로 변화하는 의료서비스 패러다임을 반영하고 있다. 특히 건강한 삶을 누리고자 하는 소비자 요구와 나노기술(NT), 생명공학기술(BT), 정보통신기술(ICT)이 융합한 새로운 개념의 건강시대가 열리고 있다.
글로벌 조사업체 BMI((Business Monitor International, 2015)는 2015년 세계 의료기기 시장규모를 3244억 달러로 추정하고 있다. 글로벌 불황 속에서도 최대 의료기기 시장인 미국(4.9%), 중국(3.3%) 그리고 한국(1.2%)만이 상위 15개국에서 전년대비 성장세를 이어갔다. 우리나라 의료기기 시장규모는 약 5조원(2014년 기준)으로 생산액은 약 4조 6000억원, 수출액은 약 2조 7000억원이다. 시장규모는 2010년 이후 연평균 6.5%, 같은 기간 생산액는 연평균 11.6%, 수출액은 12.7% 성장했다.
지난해 우리 경제는 메르스 사태로 내수·수출이 동반 부진했다. 의료기기업계가 받은 충격은 더욱 컸으며 의료기기산업 전반이 경영적 위기에 처했었다. 그럼에도 2015년 국내 의료기기 시장은 약 5조 5000억원으로 10%성장을 이룰 것으로 보인다. 위기를 극복하고 하반기 성장잠재력이 발휘됐기 때문이다.
올해 세계 의료기기 시장은 약 3395억달러규모로 4.6%의 성장이 전망된다. 이런 성장세에 편승하기 위해 정부는 의료기기산업에 대한 규제개선, R&D, 수출환경조성, 시장개척 등 정책적 지원과 투자를 아끼지 않고 있다. 식약처, 복지부, 산업부 그리고 외교부까지 첨단융복합 의료기기 개발, 허가, 시판승인을 비롯해 입찰정보, 해외시장 진출 등 통합적인 지원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부처간 협업이 가시화되고 있다. 현재 의료기기 허가(식약처) 신청과 동시에 신의료기술평가(복지부, 보건의료연구원)를 병행해 통합심사하고, 원스톱으로 신청·처리할 수 있도록 창구를 단일화하는 ‘허가-신의료기술평가 통합심사 시스템’구축이 그 예이다.
특히 박근혜 대통령의 해외 경제순방을 통한 중국, 미국, 체코 등 경제사절단의 성과가 괄목할만하다. 지난해말 이뤄진 체코 방문은 동유럽에서 보건의료 및 의료기기진출 확대의 기회가 됐다. 체코 의료기기 시장은 2018년 약 20억달러에 달하며 65세이상 고령인구 증가로 수요확대와 공공병원 노후화에 따른 의료기기 교체로 우리 기업에게 호재가 될 것이다. 체코는 한국에 대한 호감이 높고 한류 열풍이 짙게 불고 있으며 인근 폴란드, 슬로바키아, 헝가리 등의 진출도 기대된다.
의료기기는 시장진입 장벽이 높아 제품 품질에 대한 신뢰가 없이는 판매가 불가능하다. 품질을 확보한 상태에서 수출의 첫발은 전시회에 선보이는 것이다. 한국이 1억달러이상 수출하는 시장은 미국,중국,독일,일본 외에 러시아가 있다. 90% 이상을 수입의료기기에 의존하는 러시아는 ‘모스크바 의료기기 전시회’가 시장진출의 관문이 된다. 정부는 전시회 지원사업을 통해 전시회 참여기업을 모집하고 민간 협회를 통해 수행케 하여 한국관을 구성하는 기업과 제품의 홍보와 편의를 도모하고 지원하고 있다. 작은 지원 하나가 거대시장을 형성하는 계기가 된다.
필자는 30년 넘게 업계에 종사하면서 의료기기산업의 성장과 발전을 함께 했다. ‘2017년 바이오헬스 7대 강국 도약’이
[황휘 한국의료기기산업협회 회장]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