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동강 정수장 물의 발암물질 농도가 한강 정수장 물의 배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대강 사업 이후 낙동강 수계에 녹조가 심화되면서 정수과정에 투입되는 염소량이 늘어났고 부산물로 생기는 발암물질인 총트리할로메탄(THM) 농도도 높아지고 있다. 염소 소독으로 생기는 부산물인 총트리할로메탄은 발암성이 입증된 물질로 신장과 간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19일 환경부 자료에 따르면 부산 덕산·화명 정수장의 6~9월 총트리할로메탄 평균 농도는 2008년 0.035㎎/ℓ에서 2015년 0.050㎎/ℓ로 급증했다. 경남지역도 9개 정수장의 총트리할로메탄 농도 평균값은 2008년 6월 0.031㎎/ℓ였으나 2015년 0.047㎎/ℓ로 뛰었다. 7월 평균은 0.023㎎/ℓ에서 0.038㎎/ℓ로, 8월 평균은 0.028㎎/ℓ에서 0.039㎎/ℓ로, 9월 평균은 0.036㎎/ℓ에서 0.042㎎/ℓ로 각각 높아졌다.
반면 1급수에 가까운 한강의 경우 올 8월 기준 37개 정수장의 평균 총트리할로메탄 농도는 0.029㎎/ℓ로 나왔다. 다시 말해 영남권 주민이 수도권 주민보다 많게는 배가 넘는 발암물질을 섭취하고 있는 셈이다.
환경부는 세계보건기구(WHO) 기준에 따라 마실 수 있는 수돗물 총트리할로메탄농도를 0.1㎎/ℓ 이하로 관리하고 있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이 물질이 인체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지 불확실한 만큼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휘발성이 있어 끓여 먹으면 안전하다 할지라도 샤워할 때 수증기 형태로 피부나 호흡기에 노출될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이에 대해 부산시 상수도사업본부 측은 “정수 과정에서 사용하는 활성탄을 올해는 재생탄 대신 신탄
김좌관 부산가톨릭대학교 환경공학과 교수는 “WHO의 수돗물 총트리할로메탄 농도 기준(0.1㎎/ℓ)은 권고치에 불과하다”며 “유럽 선진국은 염소 소독 대신 자외선 살균 방식으로 정수 과정을 바꾸는 추세”라고 지적했다.
[부산 = 박동민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