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녀가 태어난 곳, 그녀가 다녀간 곳, 그녀의 부모님과 관련된 흔적을 지우려 합니다.
그녀가 찾았던 식당은 행여 손님이 줄까 사진을 떼어내고, 어떤 지역은 그녀와 관련된 도로명도 바꾸려 합니다.
그녀…. 바로 대통령이지요.
이렇게 국민들은 대통령에 관한 흔적을 지우고 있습니다. 그리고 '창조경제'도 그 중 하납니다.
'정확히 무슨 뜻인지 모르지만, 하도 들으니 익숙해졌다'
박근혜 정부의 최우선 정책인 창조경제에 대한 얘깁니다.
이 역시 최순실 기획·차은택 연출·안종범 진행의 국정농단 중 하나였고, 이제 창조경제는 국민들이 듣기 싫어하는 말 중 하나가 됐습니다.
때문에 국회와 지자체는 창조경제혁신센터 예산을 대폭 줄이고 있지요. 이미 서울시는 20억 원 전액을, 전남은 10억 원을, 경기도도 절반인 7억 5천만 원을 삭감했습니다.
이 배경엔 단순히 대통령과 정부에 대한 괘씸죄만 있는 건 아닙니다. 지난해 혁신센터에서 추진한 민간인창업지원 사업의 경우, 159개 과제 중 고작 10개, 단 6%만 성공했을 정도로 성과도 미미하기 때문입니다.
지난 2008년 이명박 정부가 야심차게 추진했던 '녹색성장', 핵심 정책이었던 자원외교는 측근 비리에 연루돼 돈만 퍼붓고 성과는 없다고 낙인찍혀 정권교체 후 사라져 버렸습니다.
지금 창조경제도 녹색성장과 같은 운명이 될 처지가 됐지요.
그런데, 지금 전 세계는 인공지능과 VR 등 4차 산업혁명을 대비하기 위해 벤처기업에 막대한 지원을 쏟고 있다는걸 아시지요.
독일의 경우, 4년 전부터 제조업과 IT를 접목시킨 결과, 모든 생산라인에 센서와 인터넷을 연결하는 스마트 공장을 만들었고, 이로 인해 생산성이 9배나 증가한 기업을 만들어 냈거든요.
세계는 이런데 뒤늦게나마 따라가던 우리가 이마저도 멈추게 되면 어떻게 될까요?
사람이 유일한 재산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닌 우리나라에서 인재가 중심인 미래 산업은 새로운 기회가 될 수 있습니다.
밉다고, 싫다고 관련된 건 무조건 없애는 게 옳은 건지, 취할 건 취하고, 버릴 건 버리는 게 나을지 생각해봐야 할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