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아일랜드 경제가 20%가 넘는 기록적인 성장률을 기록했다. 12일(현지시간) 아일랜드 통계청은 지난해 실질 국내총생산(GDP)이 전년 대비 26.3% 폭증했다고 발표했다. 2014년 성장률 8.5%는 물론 올 초 내놓은 잠정치 7.8%를 크게 웃도는 경이적인 수치다. 아일랜드가 ‘켈트 호랑이’로 불리며 호황을 누렸던 지난 2000년대초 성장률보다도 3배 가까이 높다.
아일랜드는 어떻게 이처럼 기록적인 성장률을 거둘 수 있었을까. 뉴욕타임즈 등 해외 언론들은 아일랜드 GDP가 큰 폭으로 증가한 이유로 낮은 법인세율을 꼽고 있다. 아일랜드 법인세율은 12.5%로 선진국 가운데 최저 수준이다. 회계법인 KPMG에 따르면 올해 미국 법인세율은 40%에 육박한다. 프랑스와 독일은 각각 33%와 30%다. 이처럼 상대적으로 낮은 법인세덕분에 아일랜드는 법인세율이 높은 국가 기업들의 조세 회피처로 각광을 받아 왔다. 때문에 글로벌 제약업체를 중심으로 아일랜드 기업과 인수합병(M&A)을 한 뒤 본사를 아일랜드에 옮기는 사례가 잇따랐다.
그런데 아일랜드 통계청에 따르면 해외 기업이 본사를 이전할 경우, 해당 기업 소유의 설비 등 자산이 통계상으로 아일랜드 자산으로 간주돼 GDP에 포함된다. 아일랜드 GDP 성장률이 실제 이상으로 부풀려졌다는 지적이 나오는 배경이다. 아일랜드 국민들도 체감경경기와 동떨어진 GDP성장률을 비판적으로 바라보고 있다. 주소상으로 본사 소재지만 옮겼을뿐 대부분의 영업과 판매가 아일랜드 이외지역에서 이뤄지면서 성장률에 걸맞는 고용창출이 효과가 나타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아일랜드 통계청조차도 “급격한 경제성장에도 불구하고 고용 증가가 두드러지지는 않았다”며 이같은 지적을 일부 인정했다.
이와 관련해 네빈경제연구소의 톰 힐리 소장은 ”1930년대 소련에서도 나오기 힘든 성장률 수치”라고 비꼬았다.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한 경제학자 폴 크루그먼은 트위터를 통해 “레프러콘 경제학”이라고 폄하했다. 레프러콘(leprechaun)은 키가 작고 녹색 옷을 입은 아일랜드의 요정이다.
때문에 전문가들은 “아일랜드 경제 상황을 현실 그대로 파악하려면 성장률 외에 다른 수치를 더 들여다봐야 한다”고 강조한다. 이코노미스트 짐 파워는 인디펜던트와의 인터뷰에서 “고용, 실업률, 세수, 민간 소비 등을 살펴보면 아일랜드 경제의 실질적인 성장률은 4~4.5% 수준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앞으로 전망도 불확실하다. 올 1분기 아일랜드 GDP는 전분기 대비 2.1% 감소했다. 영국
[노현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