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기사는 4월 6일(06:01) '레이더M'에 보도 된 기사입니다]
레이더M 기사 더보기>>>
지난달 취임한 임종룡 금융위원장이 "우리은행 매각을 신속하게 진행할 것"이라고 밝히며 향후 우리은행 매각시기 및 방법에 대한 시장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우리은행 매각 시기를 좌우할 변수로는 박상용 공적자금관리위원회 위원장 등 민간위원들 임기다. 이들의 임기는 오는 10월 만료된다. 이에 따라 빠르면 내달께 우리은행 매각 방식 및 입찰공고 등이 나올 것이라는 인식이 팽배하다.
투자은행(IB)업계 관계자는 "현 공자위원들의 우리은행 매각 노하우를 살리기 위해 속도전을 낼 것"이라고 말했다. 옛 경남·광주은행, 우리투자증권 등 우리금융 패키지 매각을 주도하고 우리은행 소수지분 일부 매각까지 성공한 현 위원진들이 마지막 '화룡점정'을 찍기 위한 행보를 보일 것이라는 관측이다.
우리은행 매각방식으로는 소수지분 분산매각이 현실적 대안이라는 분석이다. 지난해 11월 실시했던 우리은행 경영권 매각은 중국 안방보험의 단독 입찰로 인해 무산됐다. 벌써 네번째 매각 실패다. 국내에는 마땅한 경영권 인수후보군이 없는 상황이다. 기업 등 산업자본의 경우 금산분리 원칙때문에 은행 지분 4% 이상 보유가 금지돼 있어 은행 경영권 인수가 원천 봉쇄돼 있다. 금융자본의 경우 저금리 기조 장기화로 인한 은행 예대마진 축소 등 수익성 악화 흐름이 이어지고 있는 상황에서 3조원이 넘는 거액을 베팅하기 녹록치 않은 상황이다.
결국 찾을 수 있는 첫번째 매각 대안은 중국 안방보험 등 해외 금융사다. 그러나 '먹튀' 파문을 일으킨 론스타의 사례가 트라우마로 남아있는 상황에서 해외 자본에 은행을 넘겨줄 수 없다는 여론의 '저항'을 넘어야 한다. 수익성 악화를 이유로 소매금융사업부문에서 철수한 HSBC은행의 사례가 재발할 경우 소비자 피해도 우려된다는 지적이다.
인수자 입장에서도 국내에서 소매금융을 영위하는 씨티·SC은행의 경우처럼 글로벌 본점 영업방식과 국내 금융산업 현실간 간극, 이에따른 영업환경 불확실성은 인수를 꺼리는 요소로 작용한다는 분석이다.
특히 지난번 우리은행 경영권 입찰에 참여한 중국 안방보험의 경우 단기간에 급성장한 데다 기업정보가 제한적인 비상장사라는 점에서 최근 본계약을 체결한 동양생명 인수 과정에서도 논란이 일고 있다는 점에서 우리은행 경영권 인수에 나설 경우 금융당국이 쉽사리 용인하기 어렵다는 전망이 시장에 지배적이다.
이에 따라 소수지분 분산매각 방식이 유일한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지분 4%미만으로 쪼개서 팔 경우 금산분리원칙에 어긋나지 않을뿐더러 주주간 힘의 균형으로 인해 경영투명성도 높아진다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해외 금융사들이 한국내 비은행 부문 시장 진출을 도모하기 위한 '성의표시'도 가능해질 수 있다는 분석이다.
역으로 금융당국 입장에서도 은행의 산업자본 인수 논란은 물론 '론스타 트라우마'로 대변되는 해외자본의 은행 지분 인수 논란도 비켜갈 수 있는 방식이라는 점에서 가장 현실성 높은 대안이라는 것이 전문가들 설명이다.
[한우람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