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2일 금통위…본지 설문조사
8일 매일경제가 경제·금융 전문가 10명을 상대로 설문조사한 결과, 모두가 오는 12일 금통위에서 금리가 동결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매일경제가 지난 5월 금통위 직전 진행한 설문조사에서 10명 중 4명이 7월 인상을 전망한 것과 비교하면 불과 두 달 만에 경기 전망이 그만큼 어두워진 것으로 풀이된다.
조영무 LG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미·중 무역분쟁이 본격화하면서 경기 침체에 대한 우려가 예상보다 더욱 현실화할 가능성이 크다"고 분석했다. 이어 그는 "물가가 목표수준(2%)을 하회하고 있어 한미 금리 차에 따른 자본 유출을 감안하더라도 금리 인상 시기는 계속 뒤로 밀릴 가능성이 높다"고 덧붙였다.
김소영 서울대 경제학부 교수는 "7월 금통위 금리 결정과 함께 발표될 한은의 경기 전망도 하향 조정될 가능성이 있다"며 "이 경우 한은이 경기 악화를 시인하게 되는 셈"이라고 말했다.
한미 금리 역전에 따른 자본 유출에 대한 우려가 국내 금리 인상 요인으로 작용하지만 경기 침체에 대한 우려가 커지면서 금리 인상 시기가 계속 미뤄지는 모습이다. 한미 금리는 지난 3월 0.25%포인트 역전된 이후 지난 6월 0.5%포인트로 그 차이가 확대됐다.
올해 첫 금리 인상 시기로는 10명 중 절반이 10월 혹은 11월을 꼽았고, 3명이 8월(1명은 이르면 8월)을 예상했다. 주목할 만한 사실은 올해는 금리 인상이 없고, 내년에나 금리 인상이 가능할 것이라고 전망한 전문가가 2명이나 있다는 점이다. 이들은 연말로 갈수록 경기 침체가 두드러지면서 금리 인상이 쉽지 않을 것으로 예상했다. 결국 금리 인상 시기가 5월→7월→8월→10월 이후로 갈수록 밀리는 분위기다.
8월 금리 인상을 전망한 전문가들도 10월 이후 인상을 내다본 전문가들과 인식 차이는 크지 않았다. 경기가 하반기로 갈수록 나빠질 것이기 때문에 8월에 선제적으로 금리를 올리지 않으면 4분기에도 올리지 못할 것이라는 우려에 8월을 선택했다는 설명이었다.
이미선 부국증권 연구원은 "미국 연방준비제도가 하반기 두 차례 추가 금리 인상에 나서면 한미 금리 역전차 확대가 불가피하다"면서 "상고하저의 성장 경로 전망을 감안하면 3분기 금리 인상 시기를 놓치면 올해 인상 시기를 완전히 잃어버릴 수도 있다"고 말했다.
다만 최근 외국인 자금 유출과 달러
[윤원섭 기자 / 김인오 기자][ⓒ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