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 문제는 중앙은행과 정부 정책에 의해 회복된 경제가 그 무게추를 민간으로 넘길 수 있느냐다. 1교시가 끝나고 2교시가 시작된 것이다. 정부 주도의 경제성장이 1교시였다면 2교시의 주제는 민간 수요의 증가 여부다.
수요가 증가하면 물가는 오른다. 개인의 수요 증가는 소비 증진을 의미하고, 기업의 수요 증가는 투자와 생산 확대를 뜻한다. 결국 민간의 수요가 늘어난다는 것은 물건을 더 많이 만들어 판다는 의미다. 더 많은 물건을 팔고 사면서 발생한 이득을 가지고 추가적으로 팔고 사는 것이 반복되는 현상을 우리는 민간 경제의 선순환이라 한다. 이 선순환을 가늠하는 지표가 바로 인플레이션이다.
벤 버냉키가 지난해 6월 테이퍼링을 언급한 이후 2014년 1월 소비자 신용이 반등했다. 아울러 버락 오바마 대통령은 1월 최저임금을 101달러 상향 조정했다. 유동성이 풀리고 있고 개인 임금소득 증가도 예상돼 미국 소비에 기대를 걸 만한 시기로 들어서고 있다.
양적완화가 진행되는 동안 미국 경기는 회복됐지만 글로벌 교역량은 위축됐다. 경상수지 적자폭을 축소하려는 정부 노력과 미국 정치권의 제조업 부흥 시도(리쇼어링)가 맞물린 결과다. 그러나 미국의 1분기 경상수지 적자는 다시 확대돼 이 같은 흐름에 변화가 생기고 있음을 암시했다. 미국의 1분기 경상 적자 규모는 1112억달러로 2012년 3분기 이래 가장 큰 적자 규모를 기록했다.
글로벌 불균형의 열쇠를 쥐고 있는 미국의 소비가 증가하면 글로벌 불균형은 소폭이나마 개선될 수 있다. 향후 1년, 짧게는 2014년 하반기 글로벌 경상수지 불균형 확대 여부는 미국에 달렸다.
물론 길게 보면 중국 소비의 비중이 높아질 것이고, 미국은 부채를 통한 소비를 줄이려 할 것이다.
하지만 그것은 경기가 정상적인 상황에서의 목표다. 중간 과정에서는 미국이 다시 소비할 수도, 중국의 공장이 다시 활발히 가동될 수도 있다.
최근 미국의 변화로
[윤지호 이트레이드증권 리서치센터장]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