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7일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발생·경유 의료기관 24곳을 모두 공개했지만 선제 대응에 실패한 정부의 또 다른 ‘뒷북’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불안한 국민들의 공개 요구가 빗발쳤음에도 불구하고 정부는 평택성모병원 한 곳만 공개하는 등 ‘병원명 비공개가 원칙’이라는 집착을 버리지 못했다. 그러는 사이 오히려 인터넷에는 일부 잘못된 병원들 명단이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등을 통해 공개되면서 해당 병원이 “사실이 아니다”는 해명까지 하는 상황이 벌어지는 혼란이 커졌다.
복지부는 그동안 비공개 원칙을 고수했던 이유에 대해 “무작정 공개를 하면 국민 입장에서는 막연한 공포심으로 인해 해당 병원을 가지 말아야겠다는 판단이 앞설 수밖에 없다”며 “병원 역시 아예 메르스 의심환자 수용마저 꺼리게 될 것이고, 이는 지역 의료공백으로 이어진다고 봤다”는 논리를 펴 왔다.
지난 주말까지만 해도 서울삼성병원 1곳 정도만 더 공개하겠다던 입장을 고수하던 정부 방침이 바뀐 것은 지난 3일 박근혜 대통령의 ‘투명한 정보 공개’ 지시 이후부터다. 최경환 국무총리 대행은 7일 브리핑에서 “함께 충분한 검토를 거친 뒤 발표로 이어졌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지자체 단체장들의 일방적 정보 공개와 여론에 떠밀려 정부가 빗장을 푼 것으로도 비춰진다. 결과적으로 병원 정보 비공개는 그동안 혼선과 분열을 일으켰다는 지적을 피할 수 없게 됐다. 최 국무총리 대행은 “공개 시 부작용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었다. 대응체제가 한 차원 높고 총력 기조로 전환된 점을 고려했다”며 “메르스 확산에 대한 국민 불안감과 조기 해소에 무게를 두고, 전격 공개를 하게된 점을 이해해달라”고 말했다.
특히 일부 병원 공개를 두고 정부가 장시간 고민을 하는 동안 14번 환자 같은 또 다른 슈퍼전파자가 나왔다. 그 시간 동안 접촉이 가능했던 삼성서울병원 방문자들은 이미 지방으로 뿔뿔이 흩어졌는데 이에 대응할 시간을 또 놓치고 말았다.
정부 실수는 여기서 끝나지 않았다. 정부가 7일 공개한 메르스 관련 병원명에서 ‘성모가정의학과의원(외래)’ 소재지가 경기도 군포시가 아닌 서울 성동구로 확인됐다. 군포시는 이날 “정부가 발표한 병원 명단 중 성모가정의학과의원의 소재지가 군포라고 적시한 것은 잘못”이라고 밝혔다. 군포시 보건소 측은 “정부가 서울에 있는 병원을 군포라고 발표해 시민들 문의 전화가 폭주하고 있다”며 “이를 설명하느라 진땀을 흘리고 있다”고 전했다. 서울 성동구의 경우 현재 보건소가 1차 검사에서 양성 판정을 받은 환자 1명이 2차 검사 결과를 기다리고 있는 중이기 때문에 무엇보다 신속한 정보 전달이 중요한 상황이었다.
분당제생병원 등 메르스 음성 환자를 진료하고도 잘못된 정보로 인해 그동안 피해를 봤던 병원들은 이번 발표로 인해 일단
[이동인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