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직장인 100명 중 8명이 직장 내 성희롱을 겪었고, 이 중 상당수가 성희롱을 당하고도 아무런 대처 없이 넘어갔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여성가족부는 지난해 4월 6일부터 12월 27일까지 전국 공공기관 400개소와 민간사업체 1200곳의 직원 9304명, 성희롱 방지업무 담당자 16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2018년 성희롱 실태조사 결과'를 3일 발표했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 3년간 직장에 다니는 동안 한 번이라도 성희롱 피해를 당했다는 응답은 전체 응답자의 8.1%로 여성은 14.2%, 남성은 4.2%였다. 이는 지난 2015년 실태 조사 당시 성희롱 피해를 경험했다는 응답 비율 6.4%(여 9.6%·남 1.8%)보다 1.7%포인트 오른 결과다.
피해자 연령은 20대 이하(12.3%), 30대(10.0%), 40대(6.0%), 50대 이상(5.0%) 순이었다. 정규직(7.9%)보다 비정규직(9.9%)의 성희롱 피해 경험이 많았다.
성희롱 피해 경험이 있는 응답자에게 성희롱 행위자의 직급과 성별에 대해 질문한 결과 절반 이상이 '상급자'(61.1%)로 답했다. 성희롱 행위자의 성별은 남성(83.6%)의 비율이 여성에 비해 압도적으로 높았다.
성희롱이 발생한 장소는 회식장소(43.7%)가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은 사무실(36.8%)이었다.
또 성희롱에 대한 피해 대처도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피해자의 81.6%가 성희롱 피해에 대처하지 않고 '참고 넘어갔다'고 응답했고, 그 이유로 '큰 문제라고 생각하지 않아서'(49.7%), '문제를 제기해도 해결될 것 같지 않아서'(31.8%) 순으로 나타났다.
성희롱 피해 이후 주변의 부정적인 반응이나 행동 등으로 또다시 피해를 경험한 사람은 27.8%에 달했다. 2차 손해를 입힌 사람은 '동료'(57.1%), '상급자'(39.6%) 등이었다.
한국여성정책연구원은 미투 운동 이후 직장 내 성희롱에 대한 민감성이 높아진 것이 성희롱 피해자가 많아진 이유 중 하나라고 분석했다.
진선미 여가부 장관은 "각 기관 성희롱 방지 체계는 어느 정도 구축됐으나 현장에서 제대로 작동하지 못하고 있다"면서 "시스템 개선방안을 마련해 직장에서 피해자
이번 조사는 한국갤럽조사연구소에서 실시됐고, 한국여성정책연구원에서 조사표 개발과 결과 분석을 맡았다. 민간사업체는 신뢰수준 95%에 오차범위 ±1.3%p이며, 공공기관은 신뢰수준 95%에 오차범위±2.2%p다.
[디지털뉴스국 노경민 인턴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