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료 = 한국소비자원] |
2014년에 처음 발표한 이 지표는 2015년, 2017년, 2019년까지 총 4차례 생산된 바 있다. 이번 결과는 직전 평가인 2017년에 비해 소폭 하락(-0.2점)했지만, 지난 2년간 우리나라 서비스 시장의 소비자지향적 수준이 큰 변화 없이 보통 이상을 유지하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소비자원은 해석했다.
평가항목별로는 2017년 대비 가격(70.0점→72.4점)과 전환성(70.8점→76.2점)이 크게 개선됐으나, 안전성은 큰 폭(-5.3점)으로 하락했다.
소비자원 관계자는 "소비자들이 제공받는 서비스의 가치 대비 가격에 대한 만족도가 높아지고(가격), 계속거래에서 사업자나 상품의 변경이 쉬워져 소비자 선택권도 커진(전환성) 반면, 소비자안전에 대한 '불안감'은 높아졌음(안전성)을 보여준다"고 분석했다.
가격에서 가장 높게 평가된 시장은 일반병의원진료서비스이며, 안전성에서 가장 낮게 평가된 시장은 택시이용서비스로 나타났다.
31개 서비스 시장 중 일반병의원진료서비스가 선택다양성과 신뢰성, 기대만족도 부문에서 모두 높게 평가(79.9점)받았다. 특히 60대 이상 소비자의 평가(81.4점)가 가장 높았다.
주택수리·인테리어 시장은 올해 괄목할 만하게 개선된 시장으로 평가받았다. 최근 인테리어 앱 등을 통해 다양한 정보 접근이 가능하게 되면서 비교용이성 부문이 크게 개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소비자불만·피해 중 피해 경험률은 7.9%로 크게 증가해 여전히 동 부문의 개선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동차수리서비스는 2015년과 2017년에 이어 올해도 전체 서비스 시장 중 최하위(76.1점)를 기록했으나, 평가점수는 소폭씩 개선되고 있었다. 다만 평가항목 중 비교용이성 평가가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있어 개선대책이 필요해 보인다.
시장의 소비자지향성 측면에서 상대적인 개선의 시급성에 따라 경고시장, 미흡시장, 양호시장 등으로 분류하는 '소비자지향성 신호등' 분석결과, 31개 서비스 시장 중 총 3개(9.7%) 시장이 소비자지향성 개선이 시급한 경고시장으로 나타났다. 이는 2017년 대비 약 1.4%포인트 줄어든 수준이다. 반면 소비자지향성 양호시장은 전체 서비스 시장의 12.9%로 2017년 대비 약 1.8%포인트 늘어났다.
자동차수리서
반면 3차 연속 경고시장 혹은 미흡시장에서 벗어나지 못했던 주택수리·인테리어는 올해 양호시장으로 진입했다.
[디지털뉴스국 이미연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