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이 중국 외교부장은 8일 주한미군 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사드) 배치에 대한 반대입장을 재확인했다. 하지만 그는 최근 중국내 롯데매장에 대한 영업정지 등 보복조치에 대한 언급 없이 북한측 주장에 동조한 한미연합훈련 중단을 요구해 논란을 낳았다.
왕 부장은 이날 열린 양회(전국인민대표대회와 전국인민정치협상회의) 생방송 기자회견에서 "현재 한중 관계의 가장 큰 문제는 한미 양국이 한반도 사드 배치를 고집하는 것"이라며 "우리는 사드에 대해 처음부터 결연히 반대해왔다"고 밝혔다. 그는 올해 수교 25주년을 맞은 한중관계에 대해 "그동안 양국 국민의 노력으로 얻은 성과를 소중히 생각한다"면서도 "사드는 분명히 잘못된 선택이고, 이웃 나라로서의 도리를 어긴 것"이라고 거듭 강조했다. 사드가 북한 핵을 방어하기 위한 무기체계라는 한국측 주장에 대해 왕 부장은 "사드의 관측 범위는 한반도를 넘어서고, 중국의 안보이익을 침해하고, 나아가 한국도 불안해질 수 있다"며 "한국은 사드 배치 과정을 즉각 중단하고 잘못된 길에서 더 멀리 가면 안 된다"고 요구했다.
그는 또 최근 한반도 정세가 매우 불안해 군사적 충돌 가능성이 높아졌다며 북한과 한미 양측에 냉정을 촉구했다. 왕 부장은 "북한은 (탄도미사일을 발사해)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 위반을 계속하고 있고, 미국과 한국은 군사훈련으로 북한 압박을 지속하고 있다"며 "양측은 서로를 향해 달리는 기차처럼 양보하지 않고 있다. 정말 충돌할 준비를 마쳤느냐"고 반문했다. 그러면서 "이제는 양측이 서로를 향해 빨간불을 켜고 브레이크를 밟아야 한다"며 "북한은 탄도미사일 발사를 중단하고, 미국과 한국도 군사훈련을 멈춰야 한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이같은 논리는 한미 연합훈련에 대해 "평양을 선제 공격하기 위한 것으로, 한반도 긴장고조의 주요 원인"이라고 주장하는 북한에 동조한 것으로 해석된다.
왕 부장은 또 대북제재와 병행한 대화 재개 필요성을 제기했다. 그는 "한반도 문제 해결에 있어 대북제재도 결의 이행이 한 가지 수단이고, 협상을 촉진하는 것도 수단"이라며 "중국이 북핵문제를 협상궤도로 되돌리는 데 역할을 하겠다"고 말했다. 6자회담 의장국으로서 회담 재개를 추진하겠다는 말이지만, 북한은 6자회담 구도 자체를 인정하지 않고 있다.
한편 랴오닝성과 산둥성 등지에서 반한(反韓)시위가 연이어 발생한 가운데 오
[베이징 = 박만원 특파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