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먼 브라더스에 이어 골드만삭스와 모간스탠리 마저 힘을 잃으면서 이제 글로벌 투자은행 시대가 막을 내렸다는 분석들이 나오고 있는데요.
하지만, 국내 증권사들은 위험관리를 철저히 하면 여전히 매력적인 사업모델이라며, 투자은행으로 성장하겠다는 뜻을 굽히지 않았습니다.
최윤영 기자가 보도합니다.
【 기자 】
지난 몇 년간 국내 증권사들의 성장 모델은 대부분 글로벌 투자은행, IB였습니다.
주식매매 등 기존 증권업무에서 벗어나 각종 파생상품 취급과 부동산 투자, 기업 인수합병 등 업무영역을 넓히는 게 주된 목표였습니다.
다시 말해 골드만 삭스와 같은 글로벌 투자은행이 닮고 싶은 대상이었습니다.
하지만, 이들 투자은행들이 무너지면서 국내 금융권에서는 회의적인 시각이 대두됐습니다.
이들 글로벌 IB들과 같은 길을 걸을 수도 있다는 판단 때문입니다.
하지만, 국내 증권업계는 여전히 글로벌 투자은행에 대한 뜻을 굽히지 않았습니다.
미국발 금융㎟穗?IB사업 자체보다 위험관리를 소홀히 했기 때문이라며, 국내 실정에 맞게 대형 투자은행으로 도약하겠다는 의지를 밝혔습니다.
▶ 인터뷰 : 황준호 / 우리투자증권 전무
- "시장에서 투자은행이 어려움에 처했지만 기업과 투자자 간에 유가증권 형태로 연결해주는 투자은행 본연의 기능이 없어진 것은 아닙니다. 투자은행 모델을 추구하되 과도한 레버리지를 피하고 리스크 관리 철저하게 하면 충분히 승산 있을 것으로 봅니다."
성장 모델 역시 크게 변하지 않았다고 강조했습니다.
▶ 인터뷰 : 이건표 / 대우증권 전무
- "아직 살아있는 투자은행 많습니다. 지금 사태는 리스크관리를 못한 곳 상황이지, 전반적인 투자은행 몰락이 아닙니다. 위험관리 중시하는 살아남은 투자은행이 롤모델입니다."
이밖에 SC증권은 IB 없이는 자본시장이 존속되기 어렵다고 밝혔고, IBK증권은 메릴린치나 리먼의 IB사업이 다른 은행으로 인수된 사례를 볼 때 여전히 가치가 있고, 살아남는 투자은행은 더 강해질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 스탠딩 : 최윤영 / 기자
- "월가를 상징하는 미국식 IB 시대는 사실상 막을 내렸지만, IB가 사라지리라 전망하는 것은 다소 이르다는 지적입니다. 위기관리 능력을 갖춘 한국형 투자은행을 만들 수만 있다면 오히려 기회로 작용할 수 있다는게 국내 증권업계의 대체적인 시각입니다. mbn뉴스 최윤영입니다."
< Copyright ⓒ mb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