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3일 오전 10시 서울 삼성전자 서초사옥에서 갤럭시노트7 발화 원인과 조사결과 방지책 관련 기자회견이 열린 가운데 고동진 삼성전자 무선사업부 사장이 발언하고 있다. [사진 =한주형기자] |
고동진 삼성전자 IM(IT·모바일)부문 무선사업부장 사장은 23일 서울 서초사옥에서 열린 '갤럭시노트7 발화원인 발표 기자회견'에서 "그동안 고객 여러분들과 통신사업자, 유통 거래선, 모든 협력사 여러분들께 불편과 심려를 끼쳐드려 진심으로 사과드린다"고 고개를 숙였다.
삼성전자는 이날 재발방지 대책을 함께 발표했다. 삼성전자의 의뢰를 받은 외부 기관 3곳도 독립적인 조사결과를 내놨다.
아래는 삼성전자가 국내외 취재진과 나눈 일문일답이다.
Q. 갤럭시노트7 발화 사고가 배터리 용량의 밀도를 높인 것과 관련이 있는가?
- 고동진 : 갤럭시노트7 같은 경우엔 배터리가 3500mAh로 애너지 밀도가 전작 대비 높은 것은 사실이다. 이 때문에 처음 분석을 시작하면서 이것이 소손의 원인과 직접적인 원인이 있는지 의문을 갖고 조사했다. 하지만 배터리는 제품마다 모두 다르게 디자인인된다. 단지 갤럭시노트7에 들어가는 배터리 사이즈는 같지만 디자인은 달라질 수 있다. 즉 소손 원인에 말씀드린 것처럼 A사의 배터리는 구조적인 디자인 문제, 설계 등 일부 미세한 공정상의 관리 문제다. B사는 충분하지 않은 공정 결함으로 (발화 원인이) 틀리게 나타났다. 3자 분석기관을 통해서도 에너지 밀도와 소손과 직접적인 영관을 찾을 수 없었다.
Q. 실험실에서 소손이 재현된 건수가 기기, 배터리로 나눠 각각 몇개인가? 또 통계학 적으로 의미있는 분석 결과가 나왔는가?
- 고동진 : 갤럭시노트7은 306만대가 소비자에게 팔렸고 약 330여대가 소손으로 보고됐다. 0.01%를 재현하기 위해 갤럭시노트7 완제품 20만대가 필요했고 별개로 배터리 테스트도 진행했다. 이처럼 테스트를 한 이유는 시장에서 발생한 소손 문제를 그대로 재현하기 위해서다.
하지만 (이전보다) 소손 비율이 더 높게 나타났다. 1차 리콜 이후 2차 리콜이 있었고 고객분들이 회수해줬다. (이 기기들은) 사용 시간이 길지 않았고 한 달 정도 저희는 두 달 정도 사용자 경험을 기반으로 테스트를 했기에 숫자가 많이 나왔다.
통계학적 의미는 없다.
Q. 1차적으로 삼성SDI, ALT 배터리의 설계 공정상의 문제지만 2차적으로 삼성전자가 검수를 제대로 못한 책임도 있다고 생각한다. 두 업체에 법적인 책임을 물을 계획인가?
- 고동진 : 지난 9월2일 처음 리콜 발표할 때도 회사 네임은 직접 발표 안했는데 지금도 마찬가지다.
갤럭시노트7 같은 플레그십 모델에는 1000개정도의 부품이 들어간다. 1000개 중 동일한 부품으로 치면 400개로 압축된다. 400개의 부품을 저희가 완제품 제조사로 공급을 받으려 하면 약 450개의 1차 협력사가 삼성전자와 일하게 된다.
물론 이번 갤럭시노트7이 결국 단종됐고 손실 등을 감안하면 힘든 시기였지만 그들은 우리와 협력사고 다른 모델로도 협력하고 있고 앞으로도 일할 것이다.
우리는 최종적인 책임을 져야 하는 완제품 업체다. 어떠한 부품이 들어오든지 간에 안전성이라던가 품질 측면에서 검증을 제대로 하지 못한 포괄적인 책임은 저희에게 있다. 우리 자체 분석 결과는 해외 석학 분들에게도 컨설팅을 받았고 별도의 검증도 받았다. 그 결과를 배터리 공급사와 공유했고 이들 업체들도 인정했다. 이같은 상황에서 법적 책임을 묻는 것은 옳지 않다고 생각한다.
Q. 갤럭시S8 차기 전략 제품 개발 몰두 해야 하는데 언제쯤 공개 가능?
- 고동진 : 갤럭시S8는 언제쯤 발표가 가능한 지 최종 조율중이다 우리가 늘 해왔던 모바일콩그레스월드(MWC)에서 발표는 안 할 예정이다. 소프트웨어와 배터리 안전 설계, 알고리즘 등을 통한 갤럭시S8에 반영할 수 있도록 이미 준비하고 있다.
갤럭시노트7에서 많은 실망감을 안겨드렸고 불편함을 끼쳐드렸는데 죄송하다. 의미있는 혁신이 있는 갤럭시S8로 소비자 여러분들께 찾아가는 게 삼성전자 무선사업부 모든 임직원들의 해야할 일이라고 생각한다. 품질과 소비자의 안전을 한층 더 올린 제품을 통해 잃어버렸던 신뢰를 반드시 회복하겠다.
Q. 배터리 공급사인 A사와 B사의 소손 비율의 차이가 있는가
- 고동진 : 발생 비율을 숫자적으로 비교하기 어렵다. 왜냐하면 1차 회수하고 그때만 해도 A사에서 발견된 문제가 B사에서 전혀 발견되지 않았다. 이는 외부 전문기관에서도 확인했다. 당시 소비자 안전과 편의를 위해 빨리 교환을 진행했는데, 시장에서 회수된 시기와 사용 시간을 감안했을 때 비율을 (모두) 0.01퍼센트였다. 그 숫자에서 차이는 없다. 실험한 20만대 중에서는 B사가 조금 더 (소손이) 나왔는데 통계적으로 의미가 있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Q. B사(ALT)의 경우 다른 스마트폰 제조사에도 배터리를 공급한다. B사 배터리를 쓰는 다른 회사에서도 배터리 소손 문제가 있어야 하는 게 아닌가?
- 고동진 : B사와 다른 휴대폰 제조사 간에 있었던 일을 이 자리에서 언급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 배터리는 휴대전화에 맞게 최적화하기 때문이다.
배터리는 똑같은 용량이라도 모델에 따라 틀리다. 삼성전자에서 사용하는 배터리 중 똑같은 3500mAh라도 갤럭시노트와 다른 모델에 적용할 때 똑같이 사용 할 수 없다. 모델에 따라 맞춤화되기 때문에 용량이 다르다.
또 B사는 리튬이온배터리 업계에서 현재 평판이 가장 앞서있는 회사다. 그들의 생산량이라던가 여러 가지 개발 능력을 보면 최고 수준이다.
Q. 중국 내에서도 이번 사건에 관심이 많다. 현지 소비자들에게 한 마디 해달라.
- 고동진 : 저희가 1차 리콜 때 글로벌 다른 지역은 A사 배터리를 썼다. 중국은 그 때 이미 B사 배터리를 채택하고 있었다. B 배터리에서 A 배터리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았다. 하지만 검증을 제대로 못하다보니 B 배터리에서는 A 배터리에서 나오지 않은 문제가 나왔다.
돌이켜보니 그때 중국 소비자 여러분들게 좀 더 자세하게 커뮤니케이션하고 좀 더 상황 설명을 더 정확하게 해드렸다면 이중잣대 문제가 발생하지 않았을 것이다. 그 점에 대해 중국 소비자 여러분들이 마음 상하시고 겪으셨던 불편에 대해 이 자리에서 깊게 사과드린다.
특히 중국은 갤럭시 노트 시리즈에 대해 세계 어디 곳보다 열광적인 반응을 보여준 국가이자 시장이다. 삼성전자가 중국에서 많은 잘못하고 있고 어려운데 아직까지 삼성전자 노트를 아껴주는 소비자들께 진정성있게 다시 찾아뵙고 더 잘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 중국 소비자 여러분들 감사드리고 더 좋은 제품으로 찾아뵙도록 하겠다.
Q. 갤럭시노트7에 문제가 있었지만 애플 '아이폰'보다 빨리 출시해 시장을 선점하려다 문제가 생겼다는 의견이 있었다.
- 고동진 : 삼성전자는 봄에는 갤럭시S 시리즈를, 가을에는 갤럭시 노트 시리즈를 각각 출시해왔다. 갤럭시 노트7의 경우 지난해 8월 2일에 언팩 행사를 하고 8월 19일에 시장에 출시했다. 일정을 보면 예년보다 일주일에서 열흘 정도 빠르긴 했지만 통상적으로 이 정도는 움직일 수 있다. 경쟁사를 의식해 서두르지 않았다.
Q. B사 배터리는 문제가 없다가 나중에 발견됐는데 갑자기 물량이 B사로 몰리면서 A사 배터리로 교환하는 과정에서 일어난 문제는 아닌가.
- 노태문 삼성전자 부사장 : 1차 리콜 당시 배터리는 B사 것도 이미 개발을 다 마쳤고 특히 중국 시장같은 경우에 이미 들어갔던 상태다. A사에서 발생했던 문제가 B사에서는 전혀 발견되지 않은 게 삼성전자와 외부전문기관의 평가였다. 1차 리콜 이후 A사 배터리를 장착한 노트7의 소비자 안전을 감안해 제품의 신속한 교체를 진행해왔다. '그 과정에서 B사에 물량 압박을 한 게 아니냐'고 했는데 B사는 리튬이온 배터리를 연간 몇 억대씩 제조하는 선두회사다. 100~200만대 정도의 물량은 이미 생산하고 있었기 때문에 압박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Q. A사와 B사 모두 얇은 분리막이 문제라고 발표했다. 배터리 제조사들은 왜 얇은 분리막을 만들 수 밖에 없었나? 삼성전자의 요청이었는가.
- 고동진 : 배터리 에너지 밀도 문제는 UL에서도 밝힌 바와 같이 갤럭시노트7은 혁신적인 컴팩트 디자인이다. 배터리 용량은 3500mAh였다. 배터리 제조사들이 배터리 분리막을 어떻게 구성하고 몇 mm로 구성할 수 있는 지 지식을 갖고 있지 않았다. 배터리 납품 상태 장착 상태에서도 우측 상태 젤리롤이 눌림 현상을 볼 수 있었다. 우리가 미흡했던 점은 외부 석학에게 자문을 갖는 과정에서 얇은 분리막이 문제될 수 있다는 점을 인지하지 못했다. 우리는 이와 같은 문제를 보완하는 기술을 혁신하고 있다.
Q. B사의 비정상 유착 돌기와 절연 테이프 미부착은 불량 문제인건가? 배터리 우측 코너 눌림 현상은 배터리를 장착하기 이전에도 눌려있던 것인가, 장착하고 나서 내부 공간의 문제 때문에 밀린 것인가.
- 고동진 : B사의 비정상적인 유착돌기라고 하는 것은 0.01% 울트라소닉 웰딩을 하면서 그 부분까지 제조사가 알지는 못했다. 소손 현상을 재현하기 위해 휴대폰에도 장착을 압착하기도 하고 살짝 걸치기도 하며 테스트하고 배터리만 별도로 테스트를 했다. 하지만 동일하게 소손현상이 나왔기 때문에 A 배터리의 경우 장착 전후가 별 다른 차이가 없었다. 배터리를 장착하기 전에도 우측 상단에 롤이 눌린 현상이 나왔다.
Q. 갤럭시S8 등 새로운 제품을 출시할 때 혁신과 문제점을 반영하겠다고 했다. 하지만 휴대폰 개발이 연간 단위로 진행되며 상당한 시기가 소요되는데 앞으로 3월이나 4월에 나올 제품을 소비자가 문제가 없다고 확신할 수 있다고 보는가?
- 고동진 : 700여명의 개발자들이 투입됐다고 말씀드렸는데 저 자신도 4개월이 넘게 단 하루도 빼지 않고 임원들과 같이 일을 해왔다. 하나하나 탐색적으로 접근하면서 전문가 자문을 받고 다음부터 배터리 문제 해결 방법을 10월 말부터 단계적으로 적용했다. 배터리 관련 내용에 대한 저희 내부 분석이 마무리 된 것은 11월 말이었다. 3자 전문기관 평가는 1월 첫째주쯤 마무리 돼 가는 과정이었다. 분석하고 발견한 내용들이 상당수가 기존에 해왔던 부분이며 엑스레이 검사같은 기존에 하지 않았던 부분은 별도로 장비를 갖추며 추가적으로 실시했다.
외부 전문가 집단에게 컨설팅을 받고 분석 내용을 기반으로 해서 여러 조치에 대해 같이 일해왔다. 이 과정이 3~4개월 걸렸는데 짧게 느껴질 수 있다. 우리 삼성전자 무선사업부 모든
[디지털뉴스국 박진형 기자 / 이경서 인턴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