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올해 한국형발사체와 인공위성 개발 등 우주기술 개발에 6042억원을 투자한다. 또한 올해 한국형발사체 및 달탐사 사업 일정이 조정됨에 따라, 지난해 마련한 기술개발 로드맵도 수정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8일 우주개발진흥실무위원회를 열고 이같은 내용이 담긴 '2018년도 우주개발 시행계획'과 '국가 중점 우주기술개발 로드맵 2.0'을 확정했다고 밝혔다.
정부는 지난 2월 제3차 우주개발 진흥 기본계획을 통해 한국형발사체, 달 탐사 등 주요사업의 일정을 조정하고 향후 2040년까지의 개발 계획을 확정하여 발표한 바 있다. 이날 확정된 계획들은 상기 기본계획의 이행에 관한 2018년도 세부과제를 제시하고 있다.
먼저 정부는 기본계획에 반영된 우주개발 프로그램의 성공적 추진을 위해 필요한 수요기술(761개)을 도출해 국가간 기술이전이 제한되어 자력 확보가 필요한 기술들을 중심으로 235개의 중점기술을 최종 선정했다. 선정된 중점기술 중 성숙된 기술은 체계 사업을 통해 바로 개발하고, 미성숙 기술은 우주중점기술개발사업 등 선행연구 후 체계 사업에 반영하는 전략을 마련했다. 발사체, 위성 등 우주개발 프로그램 기획 초기단계부터 로드맵을 활용하여 부품 수급계획을 마련하고 신규 연구개발 과제로 중점기술을 우선 선정하는 등의 로드맵 활용방안을 제시했다.
정부는 2018년 우주개발 분야에 총 6042억원을 투입하여 국민의 안전과 삶의 질에 기여하기 위한 한국형발사체 개발 및 다양한 위성개발 활용에 집중한다. 작년 예산(6천659억원)에 비해 9.3% 줄었다. 과기정통부는 "달탐사 사업의 기기제작이 1∼2년 미뤄져 올해 예산에 반영되지 않았고, 한국형 발사체 사업에서 일부 예산 집행이 미뤄져 이월분이 발생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독자 우주개발 추진을 위한 자력발사능력 확보를 위해 한국형발사체개발에 2024억원을 투자하고 올해 10월에는 75톤 엔진의 비행성능 검증을 위한 시험발사체를 발사한다.
이날 위원회에서는 '우주위험대비 시행계획' 및 '위성정보활용 시행계획'도 확정됐다. 우주물체 추락을 대비한 민·관군 합동 훈련을 5월 중 실시하고, 이런 위험성을 살피기 위해 구축한 '전자광학 감시네트워크'의 시험 운영을 완
[원호섭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