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료 = 한국감정원] |
2일 한국감정원 조사에 따르면 10월 서울 주택가격(아파트·단독·연립주택 포함)은 0.50% 상승해 전월(0.44%)보다 오름폭이 확대됐다. 이는 작년 10월(0.51%) 이후 월간 단위로 최대 상승폭이기도 하다.
구별로 강남구의 주택가격이 0.87% 상승하는 등 강남 4구(0.76%)의 상승폭이 가팔랐고, 비강남권에서는 성동구(0.65%)·용산구(0.53%)·서대문구(0.41%) 등이 많이 올랐다.
성동구는 왕십리뉴타운과 금호·행당동 일대 대단지 위주로, 용산구는 시공사 선정 과열로 정부 특별점검을 받은 한남3 재개발 구역과 이촌·도원동 일대 주요 단지가 강세를 보였다.
유형별로는 아파트값이 0.68% 올라 상승세를 주도했다. 작년 9월(1.84%) 이후 1년 2개월 만에 최대 상승이다.
서울 연립주택은 0.20% 올랐고 단독주택은 0.37% 상승해 전월(0.50%)보다 오름폭이 둔화했다.
전국의 주택가격은 0.19% 상승해 10월(0.12%)보다 상승폭이 확대됐다.
서울 지역 강세와 함께 지방의 주택가격이 0.04% 올라 작년 11월 이후 1년 만에 상승 전환한 영향이 크다.
지난달 해운대구 등 3개 구가 조정대상지역에서 해제된 부산시는 0.05% 올라 2017년 11월 이후 2년 만에 상승 전환했다.
매매와 함께 전셋가격도 동반 상승했다. 전국의 주택 전셋값은 0.14% 올라 10월(0.09%)보다 오름폭이 커졌다.
서울 전세가격(0.27%)은 신규 입주물량 감소와 함께 청약대기·학군 수요 등의 영향으로 전월(0.23%)보다 상승폭을 키웠다. 경기(0.34%)는 청약대기 수요가 있는 과천·하남시 등 서울 인접지역 위주로, 인천(0.18%)은 누적된 입주물량 해소된 연수구 위주로 오르며 10월보다 오름폭이 커졌다.
지방도 0.01% 올라 2017년 3월(0.05%) 이후 2년8개월 만에 상승 전환했다.
서울에서 양천구(0.63%)는 학군수요가 있는 목동 신시가지 위주로, 강남구(0.50%)는 주요 학군지역인 대치·개포·역삼동 위주로 올랐다. 서초구(0.36%)도 학군수요가 몰리며 반포·서초·방배동 위주로, 송파구(0.46%)는 잠실·가락동 위주로 상승했으나 강동구(0.00%)는 신규 입주물량 영향 등으로 보합으로 나타났다.
특히 아파트 전셋값이 가팔랐다. 서울 아파트 전셋값은 지난달 0.41% 올라 2015년 12월(0.76%) 이후 월간 단위로는 약 4년 만에 최대폭으로 상승했다. 분양가상한제 시행에 따른 공급 부족 우려에다 정시
전국 월세가격도 지난달 하락에서 보합 전환했다. 2016년 12월 하락을 시작한 후 약 3년(35개월) 만이다.
수도권(0.04%)과 서울(0.05%)은 전달보다 상승폭이 소폭 커졌으며, 지방(-0.03%)은 하락폭이 줄었다.
[디지털뉴스국 이미연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