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12.16 부동산 대책 후 경기도 특히 수원과 용인, 성남 등 이른바 '수용성' 지역에서 풍선효과로 시장이 과열되는 현상이 심리조사 지표로도 확인됐다. 반면 서울의 주택 매매 소비심리지수는 떨어지며 나름안정화 단계로 접어든 것처럼 보인다.
17일 국토연구원 부동산시장연구센터가 발표한 '1월 부동산시장 소비자심리조사(1월 23일∼2월 10일)' 결과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의 주택 매매시장 소비심리지수는 124.5로 전달 144.6에 비해 20.1포인트 하락했다.
이 지수는 전국 152개 시·군·구 6680세대, 중개업소 2338곳의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산출한다. 0∼200 범위의 값으로 표현하는데 지수가 100을 넘으면 가격 상승이나 거래 증가를 체감했다는 응답이 반대의 경우보다 많다는 뜻이다.
서울 매매심리는 민간택지 분양가상한제 방안 발표 전인 작년 10월 151.0까지 올랐으나 12.16 대책 후 내리막길을 걷고있다. 실제 1월의 서울 매매심리 지수는 작년 6월 128.3 후 7개월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반면 1월 경기도 주택 매매시장 소비심리지수는 131.4를 기록하며 전달 128.8보다 2.6포인트 올라 2017년 7월 137.3을 기록한 이후 30개월 만에 최고치를 보였다.
심리지수는 95 미만은 하강국면, 95 이상·115 미만은 보합국면, 115 이상은 상승 국면으로 분류하고 각 국면별로 다시 하·중·상 3단계로 분류한다. 상승국면은 115~134(하), 135~174(중), 175~200(상)으로 나누고, 보합은 다시 95~99(하), 100~104(중), 105~114(상) 등 3단계로 나뉜다.
↑ [자료 = 국토연구원] |
수원과 인접한 군포시와 화성시는 상승 '하'에서 '중'으로, 용인 처인구는 보합 '상'에서 상승 '하'로 각각 올랐다.
한편 전국 기준 주택매매시장소비자심리지수(123.0)는 전월대비 4.3포인트 하락했지만 상승국면을 유지하고 있다. 수도권(128.3)은 전월대비 4.5포인트 떨어졌고, 비수도권(117.1)은 3.5포인트 하락했지만 모두 상승국면이다.
대전은 138.7로 전달 148.4보다는 9.7포인트 하락했지만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세종도 전달 161.9에서 1월 52.2로 9.7포인트 떨어졌지만 전국 최고 자리를 지켰다.
부산은 121.4에서 111.7로 9.
광주는 109.3에서 114.6으로 5.3 포인트 올랐으나 수치 자체가 높은 수준이 아니다.
제주는 96.5에서 92.7로 떨어져 전국에서 유일하게 100이하의 최하 자리에 머물렀다.
[디지털뉴스국 이미연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