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강변 경관 공유와 접근성 강화, 한강 자연성 회복, 보존과 리모델링….
박원순표 서울시 도시재생 정책이 구체화되면서 서울 한강변 주요 재건축·재개발 아파트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6일 서울시와 부동산 업계에 따르면 시는 지난달 발표한 한강변관리기본계획의 지구별 상세 가이드라인을 최근 시 홈페이지에 게재했다. 한강의 공공성을 강조해 강변 건축물에 대한 경관심의를 강화하고 층수를 제한한다는 게 골자다. 서울시는 여의도 잠실 압구정 등 기본계획에 속한 27개 지구의 경관 조성 등 가이드라인 내용을 알리고 올해 말까지 계획을 확정할 방침이다.
서울시 고위 관계자는 “한강변 아파트는 35층 이상 올릴 수 없다는 게 확고한 원칙”이며 “향후 서울 시장이 바뀌어도 한강변 단지 관리 방침에 변함이 없더록 법정 최상위계획인 2030 도시기본계획(서울플랜)을 바탕으로 수립한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현재 특별건축구역제도가 적용된 아파트 단지는 반포 아크로리버파크(신반포1차)가 유일하지만 앞으로 크게 늘어날 것”이라고 덧붙였다. 아파트 건물 35층은 높이로 치면 90~100m에 달해 충분히 높으며, 특별건축구역제도를 적극적으로 활용해 층수를 다양화하겠다는 게 서울시의 입장이다.
지구별 가이드라인을 보면 공공성이 한층 강조될 전망이다. 한강변 재건축·재개발 추진 단지들은 지금까지 기부채납으로 학교와 공원, 문화센터 등을 조성해왔지만 앞으로 단지 주민들 뿐 아니라 ‘서울 시민’이 한강변을 이용하기 쉽도록 공공보행통로(브릿지) 등 다양한 시설을 지어야 하며, 한강 조망을 다같이 공유할 수 있도록 경관에 부쩍 신경써야 한다. 최근 서울시 심의에서는 한강변 중에서도 한강과 인접한 곳은 층수를 10층 안팎으로 더 낮춰야 한다는 의견이 적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서울시의 이같은 입장 변화로 재개발·재건축 사업에 ‘빨간불’이 켜진 곳이 늘고 있다. 일각에서는 서울시 행정의 일관성이 부족해 ‘행정 리스크’로 인한 주민들의 예상치 못했던 재산 피해가 늘어나고 층수 등을 두고 형평성 논란을 일으켰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지난 2012년 조합 설립 후 재개발을 순조롭게 진행하던 용산구 한남뉴타운3구역은 지난 5월 이후 사업이 올스톱됐다. 지난해 7월 서울시장 명의로 재정비촉진계획 결정 고시를 받고 이후 7번의 자문·심의를 거쳐 건축심의 통과를 앞둔 상황에서 시가 한남뉴타운 전체 계획을 재검토하겠다고 나섰기 때문이다. 시 관계자는 “자문위원회를 구성해 정비계획을 검토 중이지만 언제 결론이 날 지 예측하기 힘든 상황”이라며 “관련 용역업체 선정은 내년 이후로 미뤄질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통합조합을 설립하고 서울시 경관심의를 준비 중인 신반포3차·반포경남·신반포23차도 난관에 부딪혔다. 한강공원으로 연결되는 지하통로를 조성하는 등 파격적인 공공기여를 하는 대신 45층까지 올리려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하지만 층수 문제가 해결되지 않을 경우 굵직한 기부채납은 배제할 것으로 보인다. 압구정지구도 내년 정비계획안이 마련될 예정이지만 35층안에 대한 이견이 적지 않다. 개포지구 등 5층 이하 저층 재건축이 거의 끝나고 상대적으로 앞으로 사업성이 떨어지는 14~15층 중층 단지들이 재건축에 들어가는 점도 변수다. 한 조합 관계자는 “중층 단지들은 용적률이 사업성의 마지노선인 용적률 180% 안팎인 경우가 많다”며 “주택 경기가 흔들릴 경우 수익성 부족으로 사업이 다시 지지부진해질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
서울시와 한강변 거주민들 사이의 시각차가 커 갈등의 골이 깊어질 가능성이 적잖은 만큼 절
[임영신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