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 출처 = Pixabay |
22일 증권업계에 따르면 주요 43개 중소형 자동차부품업체는 1분기에 대부분 부진한 실적을 기록했다. 전체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2.4% 증가했으나 영업이익은 21.4% 감소했고, 영업이익률도 5.2%에서 4%로 떨어졌다. 순이익 역시 35.5% 급감했다.
영업이익률 하락에는 지난 3월부터 시작된 사드 여파 이외에 완성차 업체들의 원가절감활동이 크게 작용한 것으로 추정된다. 여기에 1분기 원화 강세로 인해 환손실이 커지며 순이익이 더욱 부진했다.
이후 4월 들어서는 현대차의 대규모 리콜사태가 터졌다. 실제 현대차는 세타2 엔진 관련 17만여대에 대해 리콜 결정이 내려지면서 1분기 2000억원, 기아차는 1600억원 등의 충당금을 반영했다. 물론 현대차의 리콜이 부품업계에 직접적인 악재로 반영되지는 않는다. 하지만 피해가 일부 전가될 수 있어 부정적 영향을 간과할 순 없다. 게다가 최근 들어서는 에쿠스·제네시스 캐니스터 결함, 모하비 허브너트 풀림, 아반떼MD 등 3차종 진공파이프 손상, 쏘렌토·싼타페·카니발 등 5차종 R엔진 연료 호스 손상, LF쏘나타 등 3차종 주차 브레이크 작동등 미점등, 그랜저 IG 등 3차종 연료 호스 연결장치 결함 등 리콜 악재가 끊임없이 쏟아지고 있어 심리적 부담이 더욱 커진 상황이다.
다만 최근 들어서는 새 정부 출범에 따라 분위기 반전이 예상된다는 긍정적인 신호들도 나오고 있다. 특히 '재벌 저격수'로 유명한 김상조 한성대 교수가 공정거래위원장으로 내정되면서 '단가 후려치기, 기술탈취' 등 자동차 업계의 거래관행을 근절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하청업체 계약에서 공정 원칙을 적용하는 것은 단순히 부품업체의 실적 개선에 기여할뿐 아니라 분기 실적 변동성을 축소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그 동안 높은 분기 실적 변동성은 중소형 부품업체 투자의 대표적 걸림돌이었다. 예컨대 과거 실적 기준 주가수익비율(PER) 5배 아래에서 주식을 매수하더라도 다음 분기 실적이 예상치 못하게 적자를 기록하면 PER이 7배 이상으로 올라 기대했던 저평가 매력이 사라져 주가 하락을 겪어왔다.
그러나 문재인 정부의 재벌개혁안에 따라 납품계약에 있어 단가 등이 예측 가능하게 되면 중소형 부품업체들의 분기 실적 변동성이 중장기적으로 축소될 가능성이 높다.
이와 함께 중국의 사드 보복이 주춤해지고 있는 기류도 감지되고 있다는 점도 긍정적이다. 새 정부 출범 이후 문재인 대통령이 서둘러 특사를 파견하면서 중국이 보복 조치를 순차적으로 해제할 것이라는 이야기가 나오고 있는 것.
김진우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실적 변동성 축소가 가시화 될 경우 PER 5~6배 수준에 머물러
[디지털뉴스국 김경택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