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값과 전셋값이 동반 하락하면서 전국적으로 전셋값이 계약 시점인 2년 전 시세 밑으로 떨어진 지역들이 늘어나고 있다. 지방 전세가격은 2년 전 대비 하락 폭이 점점 커졌고, 서울 전세가격도 강남권 4개 구는 물론 일부 강북도 2년 전보다 낮거나 비슷해진 곳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11일 한국감정원이 월간 주택가격 통계를 토대로 올해 1월말 기준 전국 17개 광역 시·도의 아파트 전셋값 분석 결과에 따르면 총 11개 지역의 전셋값이 2년 전(2017년 1월)보다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 평균 아파트 전셋값은 2년 전보다 2.67% 하락한 가운데, 광역 시·도 중 울산광역시의 전셋값은 -13.63%로 가장 하락폭이 컸다.
경상남도 역시 2년 전 대비 전셋값이 11.29% 내려갔다. 조선업체가 몰려 있는 거제시는 2년 전 대비 전셋값이 34.98% 하락해 전국 최대 낙폭을 기록하기도 했다.
이들 지역은 '깡통주택'과 '깡통전세' 문제로 지난해부터 임대차 분쟁이 심각하다. 깡통주택은 매매가격 하락으로 전세와 대출금이 매매 시세보다 높은 주택을, 깡통전세는 이로 인해 전세 재계약을 하거나 집이 경매로 넘어갔을 때 세입자가 전세금을 다 돌려받지 못하는 주택을 말한다.
또 지난해부터 집값이 약세를 보이고 있는 부산은 2년 전보다 2.36% 하락한 상태다. 이 외에 세종(-5.47)·강원(-2.62%)·충북(-4.01%)·충남(-7.08%)·경북(-8.10%)·제주(-3.71%) 등에서도 2년 전보다 전셋값이 많이 내렸다.
최근에는 수도권에서도 역전세난 우려가 커지고 있다. 경기와 인천의 전셋값은 2년 전보다 각각 3.6%, 0.26% 낮은 상태다.
경기도는 정부 규제와 새 아파트 입주 물량 증가 등으로 전체 28개 시 가운데 21곳의 전셋값이 2년 전보다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안성(-13.47%)·안산(-14.41%), 오산(-10.05%)·평택(-11.08%) 등지의 낙폭은 두 자릿수에 달했다.
서울도 예외는 아니다. 이미 강남 4구의 전셋값은 2년 전보다 0.82% 떨어져 있다.
서초구의 전셋값이 2년 전 대비 3.86% 하락했고 송파구도 2년 전 시세보다 0.88% 내렸다. 강남구(0.02%)는 사실상 2년 전 가격이다.
강북에서도 최근 하락세가 나타나면서 현재 도봉구 전셋값은 2년 전보다 0.40% 낮다.
올해 입주물량 증가로 전세시장 약세가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역전세난 문제에 대비가 필요해 보인다.
올해 서울지역 입주물량은 지난해 2배 수준인 5만세대가 넘는다. 경기도는 작년보다 3만세대 정도 줄지만 2015년의 2배가 넘는 13만7000여세대의 입주가 대기
금융당국은 이에 조만간 올해 가계부채의 주요 리스크 요인 중 하나로 꼽히는 깡통전세와 역전세난에 대한 실태파악에 나설 방침이다.
당국은 깡통전세 문제가 좀 더 심각해질 경우 역전세 대출을 해주거나 경매 유예기간을 연장하는 등의 방안도 내부적으로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디지털뉴스국 이미연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