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거에는 지진·홍수 등 안전사고 이슈로 댐에 균열이 생기면 주로 육안으로 진단하는 방법을 사용했다. 물을 빼서 확인하고 보수·보강하는 것이 가장 확실하지만 이는 불가능에 가깝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이 배를 타고 최대한 가까이 가서 망원경이나 육안으로 댐의 외관을 파악하거나 혹은 댐 위쪽에서 끈을 고정, 이를 잡고 전문인력이 내려가 균열의심 부분을 일일이 도안으로 그려 체크하는 방법 등이 이용됐다.
그러나 이는 시간이 오래걸릴 뿐 아니라 지진이나 홍수 등의 안전사고 발생 직후 전국 각지의 댐에 바로 적용하기 어렵다. 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는 내부균열에 대한 대비 역시 쉽지 않다. 전국 60여곳이 넘는 댐을 관리하는 수자원공사는 획기적인 댐 안전진단 방법을 고민하다 대우건설 기술연구원에 이 업무를 의뢰했다.
↑ 김경민 대우건설 기술연구원 책임연구원 [사진 = 이미연 기자] |
이런 4차 산업기술은 사회안전망을 촘촘하게 만드는 역할도 당당하게 수행하고 있다. 이런 기술들은 먼 미래가 아닌 바로 지금인 2019년에 쓰이고 있다.
◆건축·토목·콘크리트는 물론 스마트건설기술 인재도 모여
국내 대형 건설사들은 최근까지 독립 조직으로 기술연구원을 운영해왔으나 건설경기가 좋지 않아 내부 조직으로 흡수하는 추세다. 1983년 업계 첫 기술연구원을 만들며 국내 건설기술개발의 중요성을 강조해온 대우건설은 10년 뒤인 1993년 아예 수원에 연구·실험동 등을 따로 갖춰 이전했고 아직도 유지하고 있다. 7월 현재 박사급 38명을 포함한 83명의 연구진이 근무 중이다.
1994년에는 업계 첫 공인시험기관으로 지정됐고, 현재 특허 706건을 출원해 643건이 등록됐다. 이 특허와 신기술들은 중소기업에 이전해 2010년 이후 관련 중소기업의 매출은 약 2000억원, 대우건설은 약 60억원의 기술료를 받아 중소기업과의 상생에도 나서고 있다.
↑ 대청댐에서 실시한 보수·보강 프로세스 [자료 = 대우건설 기술연구원] |
김 책임연구원은 "어느 건설현장이나 가장 중요한 것은 지을 때 제대로 잘 짓는 것이다. 그러나 아무리 잘 지은 건축물도 시간과 사고를 피해갈 수 없기 때문에 그 다음 단계인 유지는 물론 보수·보강 과정이 중요할 수 밖에 없다"며 "건축물 보수·보강 작업은 환경과 상황에 따라 기술은 물론 재료도 맞춤으로 해야 제대로 보수할 뿐만 아니라 기존보다 더 튼튼하게 만들 수 있다"고 강조했다.
◆"건축물 보수·보강, 상황 따라 맞춤으로 제대로 해야"
안전에 대한 사전준비는 아무리 해도 늘 부족할 수 밖에 없다. 그 어떤 예측을 하더라도 '사고'라는 악마를 미리 대비할 수 없다는 것을 누구나 매일 체감하고 있을 것이다.
사고를 막기위한 사회의 노력 중 하나가 사회간접자본(SOC)의 유지·보수업무일 것이다. 정부는 지진과 같은 자연재해 대응 역량 강화와 화재, 노후 SOC 유지보수를 비롯한 국민생활 위험요소 제거 투자 등 SOC 관련 예산을 작년보다 늘리기도 했다.
그 는 "보수·보강은 위험하고 힘든 작업인데 반해 제대로 인식되지 못한터라 나라에서도 관련 업무를 전문성으로 판단하는 것이 아닌 가격에 기준한 입찰방식으로 내놓는다"며 "그렇게되면 아무리 훌륭한 신기술을 개발하더라도 적제적소에 알맞게 시공할 가능성은 제로에 가깝다. 단가에 맞춘 균열보수는 재하자를 부를 수 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 [자료 = 대우건설 기술연구원] |
할 일은 넘치고 쌓여있다. 수자원공사의 댐 중대누수 관련 보수 프로젝트와 서울지하철 전 노선 보수·보강 및 내진보강공사 등이 시급한 프로젝트다. 서울시 교량 보수도 마찬가
그는 "안전에 대한 대비는 저렴한 가격을 써내는 낙찰방식이어서는 안된다"며 "기술경쟁력으로 선택하고 시공하는 사후 관리가 아닌 사전관리로 전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디지털뉴스국 이미연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