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존율이 낮은 바이오 창업을 위해 이 분야 초기 기업에 집중 투자하는 정부 펀드가 마련된다. 27일 정부는 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 주재로 열린 제3차 창업활성화 관계장관회의에서 바이오 창업기업 투자를 확대하는 내용의 바이오 창업활성화 방안을 발표했다.
정부는 우선 초기 기업에 30% 이상 투자하는 1135억원 규모의 초기 기업 바이오 펀드를 조성하기로 했다. 중소기업청이 750억원, 산업통상자원부가 385억원을 투입하는 방식이다. 실제로 신약 개발의 경우 후보물질 발굴에서부터 제품화에 이르기까지 평균 10~15년이 걸리고 비용도 1조원 이상 소요되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특히 지난 2013년을 기준으로 벤처기업이 기업공개(IPO)를 하는 데 걸리는 기간은 평균 11.9년인 반면 지난 2010~2015년간 바이오 기업의 IPO 소요 기간은 평균 15.6년으로 일반 벤처기업보다 4년가량 더 길다.
정부는 이 초기 기업 투자 펀드를 글로벌 제약·헬스케어 펀드 등 기존 바이오 분야 펀드와 연계해 운영하기로 했다. 현재 국내 바이오 분야 펀드는 글로벌 제약 1·2호 펀드와 한국 의료 글로벌 진출 펀드, 글로벌 헬스케어 펀드 등 총 4개로 그 규모가 4350억원에 이른다.
기존 병원에서 바이오 창업을 활발히 하도록 지원하는 정책도 나왔다. 연구의사 양성과 의사·연구자 공동연구 등을 지원하는 병원 R&D·창업 패키지 지원 사업이 114억원 규모로 새로 추진된다. 혁신적 바이오 신약 기술을 보유한 창업 3년 미만 기업만 집중 육성하는 20억원 규모 R&D도 별도로 이뤄진다.
바이오 분야에 역동적인 투자생태계를 조성하기 위해 바이오를 전문으로 하는 기업 벤처캐피털(CVC)도 육성된다. 대형 제약사들이 설립한 CVC가 모기업 인프라스트럭처를 활용해 벤처기업을 지원
또 초기 바이오 기업의 인수합병(M&A)이 원활하게 이뤄지도록 기업과 학교, 연구소가 힘을 합해 '바이오특수목적법인'(바이오SPC)을 설립하도록 유도할 방침이다. 이를 위해 올해 12개 과제를 선정해 총 60억원을 지원하기로 했다.
[서진우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