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깨힘줄은 팔을 들어 올리는 역할도 하지만 어깨가 빠지지 않게 단단히 잡아주는 역할도 같이한다. 따라서 파열된 어깨힘줄을 빠른 시간내에 복원시켜줘야 안정적이고 후유증이 남지 않는다. 그러나 어깨힘줄은 파열이 심하게 진행되어도 통증이 심하게 동반되지 않은 경우가 많아 발견이 늦어져 뒤늦게 병원을 찾는 경우가 많다.
아직 한참 일을 해야하는 세대인 50~60대에 어깨힘줄 파열이 너무 심해 봉합이 불가능한 경우에 인공관절을 하기는 너무 젊고, 그렇다고 그냥 참고 사용하게 되면 결국 탈구나 관절염으로 진행을 피할 수 없다. 그래서 지금까지 대안으로 가슴근육을 옮겨서 어깨힘줄을 이전하는 방법을 사용해 왔지만 결과가 신통치 않아 활발히 사용하지 않았다.
이런 가운데 보건복지부 지정 관절전문 여수백병원이 2014년 11월부터 올해 9월 20일까지 심한 견갑하건파열로 봉합이 불가능한 환자 92명을 대상으로 등에 있는 광배근육(廣背筋肉·넓은등근육)을 어깨관절 속으로 이전시키는 새로운 수술방법을 개발해 치료한 결과 통증해소 및 관절운동 회복 뿐만 아니라 어깨관절의 탈구와 관절염으로 진행을 막아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광배근은 등의 아랫부분에서 시작해 위로 올라가면서 가늘어지다가 좁은 힘줄을 형성하여 위팔뼈에 부착돼 있다.
백창희 여수백병원장은 "광배근 이전술은 비교적 젊은 나이인 50~60대에 심각하게 어깨관절이 손상되어 회복이 어려운 환자들에게 새로운 치료방법으로 주목받고 있다"며 "은퇴 후에도 계속 일해야하는 고령사회에서 어깨힘줄 복원은 임상적으로도 의미가 매우 크다"고 밝혔다. 특히 이 치료방법은 이달 15일 독일 베를린에서 개최된 유럽어깨학회(SECEC-ESSSE, EUROPEAN SOCIETY FOR SURGERY OF THE SHOULDER AND THE ELBOW)에서 '봉합 불가능한 견갑하건 파열에서 광배근 이전술(Latissimus Dorsi Transfer for Irreparable Subscapularis Tendon Tears)'이 연재로 채택되어 백창희 원장이 발표해 참석자들로부터 높은 관심과 함께 박수갈채를 받았다.
한편
[이병문 의료전문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