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저·스포츠활동 인구 증가로 최근 젊은 층에서 많이 발병하고 있는 어깨충돌증후군의 새 진단법이 국내 의료진에 의해 개발됐다.
가톨릭관동대 국제성모병원 김영욱 교수(마취통증의학과)는 어깨뼈(견봉돌기)의 단면적을 통해 어깨충돌증후군의 진단법을 개발했다고 31일 밝혔다.
어깨충돌증후군은 어깨를 덮고 있는 구조물인 견봉돌기와 팔뼈 사이가 좁아져, 팔을 들어 올릴 때 어깨뼈와 힘줄(회전근개)이 마찰돼 통증이 발생하는 질환이다. 이를 방치할 경우 회전근개 파열로 악화될 가능성이 있어 정확한 진단과 초기 치료가 중요하다.
어깨충돌증후군의 진단을 위해 기존에는 견봉돌기의 모양에 따라 △편평 △굴곡 △갈고리 △블록 등 4개 유형으로 나눠 구별했다.
김영욱 교수는 "4개 유형의 실질적 구별이 어렵다고 판단해 어깨충돌증후군의 주 원인인 견봉돌기에 주목해 단면적을 계산하는 방법을 선택했다"고 이번 연구의 배경을 설명했다. 김 교수팀은 어깨 MRI (자기공명영상)를 이용해 견봉돌기 단면적에 대한 연구를 진행했다. 그 결과 어깨충돌증후군 환자에서 견봉돌기의 모양에 상관없이 견봉돌기가 비대해지는 '과골화증'이 발생한 것을 확인했다. 즉 견봉돌기 면적의 증가가 어깨충돌증후군의 주원인이 된다는 것을 밝혔다. 이를 증명하기 위해 김 교수팀은 어깨 충돌 증후근 환자 95명과 정상인 126명의 MRI 촬영을 통해 견봉돌기 단면적과 진단의 정확성을 측정했다. 측정 결과 어깨충돌증후군 환자가 정상인보다 견봉돌기 단면적이 평균 42.24mm² 두꺼웠다. 또한 검사로 유병자를 골라내는 지표인 민감도와 특이도가 각각 85.2%, 84.9%로 측정됐다.
김 교수는 "어깨 MRI를 이용해 어깨충돌증후군 진단의 정확성을
이번 연구는 '어깨충돌증후군에서 견봉돌기 단면적의 평가'라는 제목으로 SCIE 논문인 'Korean Journal of Pain' 1월호에 게재됐다.
[이병문 의료전문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