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메이지(明治) 산업혁명 유산' 조선인 강제노역 사실이 인정된 가운데 유네스코의 세계유산으로 결정됐다. 우리 정부가 집요하게 요구해온 '조선인 강제노역'이 주석과 연계되는 방식으로 반영됐다.
독일 본에서 열리고 있는 제39차 세계유산위원회는 5일 일본이 신청한 23개 근대산업시설에 대해 세계유산 등재를 최종 결정했다.
한일은 등재 과정에서 23개 시설 가운데 7개 시설에서의 조선인 강제노동이 있었다는 역사적 사실의 반영을 놓고 치열하게 공방을 벌였다. 양국은 막판에 극적 합의를 도출하고 한일을 포함한 전체 21개 세계유산 위원국의 만장일치로 등재 안이 통과됐다.
조선인의 강제노역은 일본 정부 대표단의 발언록과 주석(註釋,footnote)이라는 2단계를 거쳐 등재 결정문(Decision)에 반영됐다.
일본 정부 대표단은 위원국을 상대로 한 발언에서 "일본은 1940년대에 일부 시설에서 수많은 한국인과 여타 국민이 의사에 반해 동원돼 가혹한 조건하에서 노역을 당했다"고 밝혔다. 또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일본 정부도 징용 정책을 시행하였다는 사실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조치를 취할 준비가 되어 있다"면서 "일본은 정보센터 설립 등 피해자들을 기리기 위한 적절한 조치를 해석전략에 포함시킬 준비가 돼 있다"고 말했다.
일본 정부는 정보센서 설치 등 희생자를 기리기 위한 후속조치와 관련해 2017년 12월1일까지 세계유산위의 사무국 역할을 하는 세계유산센터에 경과보고서를 제출한다. 2018년 열리는 제42차 세계유산위원회는 이 경과보고서를 검토하기로 했다.
우리 정부 당국자는 "강제노동이라는 역사적 사실이 있는 그대로 반영돼야 한다는 우리의 원칙과 입장을 관철시켰으며, 그 과정에서 한일 양국 간 극한 대립을 피하고 대화를 통해 문제를 풀어냄으로써 앞으로 양국관계의 안정적 발전에도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일본 정부가 지난해 1월 유네스코 세계유산센터에 등재를 공식 신청한 것을 시작으로 일본 정부는 본격적으로 일방적 등재를 추진해왔다. 이에 우리 정부는 강제노동 역사적 사실이 반영돼야 한다고 맞서며 치열한 외교전을 펼쳐왔다.
그러나 한일 간 첨예한 의견 다툼으로 의장국인 독일을 비롯해 위원국들 사이에 등재심사를 차기 회의를 미룰 수 있다는 의견이 확산되면서 한일이 극적으로 막판 타협에 이른 것으로 전해졌다.
이번에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일본의 메이지 산업혁명 유산은 규슈와 야마구치 지역 8개 현 11개 시에 있는 총 23개 시설이다.
이들 가운데 '지옥도'라는 별칭이 붙은 하시마(端島) 탄광을 비롯해 7곳이 대일 항쟁기 조선인 강제징용의 한이 서린 시설이다. 이들 7개 시설에 5만7천900명의 조
이에 누리꾼들은 “조선인 강제노동 해석, 우리 국민들을 바보로 아나” “조선인 강제노동 해석, 역사적 사실은 협상하는 것이 아닙니다” “조선인 강제노동 해석, 일본의 꼼수에 말려들었네” “조선인 강제노동 해석, 당장취소하고 등재 반대해라” "조선인 강제노동 해석, 말이야 막걸리야" 등의 반응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