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4월부터 중복으로 무상원조가 이뤄질 가능성이 있는 대상국가를 조정하는 방안을 마련하기로 했습니다.
외교통상부는 민동석 제2차관 주재로 총리실과 기획재정부 등 27개 무상원조기관이 참석한 가운데 협의회를 열고, 무상원조의 효과
정부는 특히 무상원조 사업이 중복될 가능성이 큰 농업과 보건, 정보기술 등 3개 분야에서 관계기관 간 협의를 강화해 나가기로 했습니다.
정부는 그동안 30여 개 기관에서 분산 시행하던 무상원조사업을 체계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지난해 12월 '무상원조관계기관협의회'를 구성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