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비례대표 공천 논란을 두고 ‘당무 거부’를 선언한 김종인 더민주 비상대책위원회 대표는 과거에도 반대에 부딪히면 당무 거부 카드를 꺼내 들었다. 특히 2012년엔 경제민주화를 놓고 당시 새누리당 대선후보였던 박근혜 대통령과 대선 캠프 주요 인사들과 대립하며 한 해에만 무려 5번이나 당무 거부를 선언한 바 있다.
김 대표의 첫 번째 일탈은 2012년 1월 당시 박근혜 새누리당 비상대책위원장이 이끄는 비대위에 비대위원으로 입성하자마자 일어났다. 김 대표는 인적 쇄신을 위해 ‘MB 실세 용퇴론’을 주장했고 이것이 권성동·조해진 등 친이계 의원들을 자극해 ‘역사퇴’ 반격을 받았다.
김 대표는 그해 1월 2일 “쇄신안이 받아들여지지 않으면 사퇴할 수도 있다”고 발언한 뒤 당 의원총회와 비대위·중진 연석회의에 잇달아 불참하는 배수진을 쳤다. 당시 갈등은 결국 박 대통령이 직접 나서 “비대위를 흔들지 말라”고 경고하면서 일단락됐다.
그로부터 한달이 채 안된 그해 1월 27일 김 대표는 다시 “비대위를 그만둘 수도 있다”는 발언을 했다. 김 대표의 강력한 재벌개혁론에 박 비대위원장이 미지근한 반응을 보인다는 것이 이유였다. 그해 2월 9일 “당분간 회의 주관을 안하겠다”며 보이콧 선언을 했던 김 대표는 하루만인 10일 “비대위가 안일한 모습을 보여 각성을 하자고 한 것”이라며 당무에 복귀했다.
김 대표는 2월 말 자신이 인적 쇄신을 주장해온 ‘MB 실세’ 이재오 의원 등이 19대 총선 공천자 명단에 포함됐다는 이유로 다시 비대위 보이콧 및 비대위원 사퇴 카드를 들고 나왔다. 김 대표는 그해 2월 28일 “당에 사의할 뜻을 전달했다”고 밝혔으나 박 대통령 만류로 사퇴 의사를 철회했다. 이후 박 대통령 대선 캠프에서 국민행복추진위원장으로 취임한 김 대표는 2012년 10월 재벌개혁 문제를 놓고 박 대통령, 이한구 당시 원내대표와 대립하면서 다시 당무 거부에 돌입했다.
재벌중심 경제구도를 해체하자는 김 대표 주장에 박 대통령·이 당시 원내대표가 “재벌해체는 절대 안 된다”며 맞섰고 결국 김 위원장이 박 후보에게 “나와 이 원내대표 중에서 선택하라”는 최후통첩을 던졌다. 김 대표는 박 대통령으로부터 ‘이 원내대표를 선거대책위원회에서 배제한다’는 약속을 받고 엿새 만에 보이콧을 접었다.
2012년 김 대표 마지막 당무 거부는 그해 11월 11일 박 대통령이 김 대표가 마련한 재벌개혁안 중 기존 순환출자 규제 등 핵심안 대부분에 대해 ‘수용불가’ 입장을 밝히며 이뤄졌다. 김 대표는 선대위 회의 불참을
신율 명지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김 대표의 과거 당무 거부 행태에 대해 “당내 뿌리가 없기 때문”이라며 “보이콧 말고는 다른 수단이 없기 때문에 거기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고 분석했다.
[안정훈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