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계가 '조현아 사태'로 인한 반(反)기업 정서 확산에 전전긍긍하고 있습니다.
21일 재계에 따르면 총수 리스크와 경영권 승계 문제를 안고 있는 상당수 대기업이 조현아 전 대한항공 부사장의 '땅콩 회항' 사건 이후 반재벌, 반기업 정서가 확산하자 극도로 위축돼 있습니다.
조 전 부사장 개인에게 집중됐던 질타와 분노가 대한항공을 넘어 국내 재벌과 기업들을 상대로 확대되면서 회사를 소유물로, 직원을 머슴으로 여기는 전근대적인 사고방식이 다른 기업에도 있지 않은지 화살을 돌리고 있습니다.
특히 재계는 이번 사건의 여파가 자칫 경제민주화나 재벌개혁 담론으로 이어지지 않을지, 오너 자제들에 대한 경영권 승계 움직임에 제동이 걸리지 않을지 고민이깊어지고 있습니다.
총수의 법적 문제로 재판을 받거나 구속 수감돼 있는 그룹들은 '조현아 파문'으로 인한 반기업정서의 확산이 기업인 온정론의 불씨를 순식간에 꺼버렸다고 보고 있습니다.
◇ "경제활성화 필요한 시기에 반기업정서는 독"
재계는 어느 때보다 기업의 적극적인 역할이 요구되던 시기에 조 전 부사장의 일탈행동이 일으킨 반기업정서의 확산에 안타까워하고 있다. 가뜩이나 대내외 경제환경이 좋지 않고 내년에도 경기부진이 점쳐지는 상황에서 반기업정서는 기업경영 활동에 부담이 될 수 밖에 없습니다.
반기업정서는 기업인들의 사기를 떨어뜨리고 활동에 제약을 가져올 뿐만 아니라 사회 전반의 기업가정신과 창업세대의 도전정신을 후퇴시키고, 기업에 대한 규제를 강화시킬 공산이 큽니다.
한 경제단체 관계자는 "일부 재벌가의 일탈행동이 빌미를 제공하며 반기업정서를 자초한 측면도 부인할 수 없다"며 "적극적인 경제활성화가 추진돼야 할 때 경제민주화 논의가 재점화하지 않을까 걱정"이라고 말했습니다.
지난 18일 열린 대안담론포럼에서는 유종일 KDI 정책대학원 교수가 재벌이 정치경제 모든 분야를 지배하는 현 상황을 지적하며 경제민주화를 실현하기 위한 차원의 개헌 추진을 주장하기도 했습니다.
특히 일부 그룹들은 대기업의 내부거래, 불공정거래에 대한 규제 강화에 이어 지배구조에 대한 집중적인 공격이 이뤄질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하고 있습니다.
경영권 승계가 임박한 그룹들은 반기업정서에 밀려 기업 소유구조 제도에 변화가 생기면 그동안 짜놓은 구도가 흐트러질 수 있을 개연성도 배제하지 않고 현 사태에 대한 여론의 흐름을 지켜보고 있습니다.
◇ 기업들 여론 흐름에 촉각…"조직운영 선진화 계기로"
이번 사건에 대한 대한항공의 부실한 대응을 지켜보며 최근 기업들마다 최근 위기관리 대응 체제와 매뉴얼을 점검하고 관련 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아울러 이번 사건을 타산지석으로 삼아 한국 기업문화의 병폐를 고치고 조직운영을 선진화, 투명화하는 등 기업 시스템을 바꿔야 한다는 내부 자성론이 제기되고 있기도 합니다.
'조현아 사태'의 여파로 말 못할 고민에 휩싸인 곳도 적지 않다. 총수 사면을 기대해온 SK그룹이나 총수에 대한 관대한 판결을 기대해온 CJ그룹 등은 여론 흐름에 귀를 바짝 세우고 있습니다.
한화그룹도 김승연 회장이 경영복귀를 앞두고 이미지 쇄신을 위해 고민하고 있던 차에 이번 사태의 불똥이 어떻게 튈지 노심초사하고 있습니다.
특히 기업경영 활동 과정에서의 횡령, 탈세 등 불법 행위 외에도 재벌가 내부의 분쟁, 막말, 폭행, 일탈 행위나 병역기피나 원정출산 등 각종 의혹이 기업의 평판을 넘어 경영에 치명적 타격을 가할 수 있다는 점이 확인되는 계기도 됐습니다.
이에 따라 일부 재벌가에서는 자녀들의 언행에 대한 단속에 나서는 분위기도 나타나고 있습니다. 후계자 리스크를 줄
재계 한 관계자는 "부와 경영권의 대물림에 대한 시선이 곱지 않아서이기도 하지만 경영실패시 엄청난 사회경제적 비용을 초래할 수 있다는 점 때문에도 후계 경영자에 대해서는 더욱 엄정한 잣대가 필요하다는 점을 인식하는 계기가 됐다"고 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