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산공원 보전 건축물 활용방안 '백지화'…추진일정도 유연화
↑ 용산공원 / 사진=MBN |
정부가 여론의 뭇매를 맞았던 '용산공원 내 보전 건축물 활용방안'을 원점에서 재검토합니다.
또 용산공원 완성 시점을 못 박지 않고 여론과 사회여건 변화를 고려해 최대한 유연하게 조절하기로 했습니다.
국토교통부는 이러한 '용산공원 조성 기본방향'을 27일 발표했습니다.
우선 국토부는 용산공원 부지 내 1천200여 개 건축물 중 역사·문화적 가치가 있어 보전이 필요한 80여개를 어떻게 활용할지 재검토하기로 했습니다.
아울러 생태공원을 만든다는 조성이념에 맞춰 용산공원에는 건물을 새로 짓지 않기로 했습니다.
보전 건축물만을 활용해 공원에 필요한 시설을 충당하겠다는 것입니다.
국토부는 지난 4월 공모를 통해 마련한 '보전 건축물 활용방안 검토안'을 공개했다가 비난을 받았습니다.
검토안은 문화체육관광부와 여성가족부, 미래창조과학부 등 중앙부처들이 제안한 '국립어린이아트센터', '국립여성사박물관', '과학문화관' 등을 기존 건축물을 재활용하거나 건물을 신축해 만든다는 내용이었습니다.
용산공원을 민족·역사·생태공원으로 만든다는 조성이념에 맞지 않는다는 비난이 즉각 제기됐고 서울시는 중앙부처가 용산공원을 '나눠 먹기'했다며 반발했습니다.
국토부는 보전 건축물 활용방안을 언제까지 마련할지 특정하지 않았습니다.
미군이 평택기지로 이전을 완료하는 내년 용산공원 부지 내 건축물 등을 정밀하게 조사해 용산공원 조성계획을 보완할 예정이기 때문입니다.
특히 보안 문제로 아직 조사가 안 된 유류저장고나 벙커 등 지하시설물들을 활용하면 용산공원의 자연지형을 회복하고 역사유적을 보전하면서도 공원에 필요한 시설을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국토부는 봅니다.
네덜란드 출신 세계적인 조경가 아드리안 구즈와 건축사무소 이로재의 승효상 대표가 수립하는 조성계획과 기본설계는 내년 중 완성될 예정입니다.
국토부는 이와 함께 용산공원 종합기본계획에서 제시한 '2027년 공원조성 완료' 등 일정을 "사회적 총의와 여건 변화에 따라 최대한 유연하게 운영"하기로 했습니다.
국토부 관계자는 "2027년은 공원을 완성한다는 의미보다 공원의 기본적인 틀과 토대를 마련하는 시기라고 생각하고 공원 내 콘텐츠는 수 세대에 걸쳐 채워나가는 것이 목표"라고 말했습니다.
용산공원 완성시점을 유연하게 바꾼 데는 미군의 기지이전이 완료되면 시작될 건축물 세부조사나 토양복구작업 등에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수 있다는 점이 큰 영향을 줬습니다.
또 미군의 요청으로 공원이 만들어진 이후에도 존속되는 드래곤힐호텔이나, 전시작전권이 반환될 때까지 남을 한미연합사령부 나아가 국방부 터도 결국에는 공원에 편입될 수밖에 없다는 전망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입니다.
지난 25일 서울 용산구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열린 용산공원 관련 대(對)국민 전문가 특별대담회에서 공원조성계획을 수립하는 건축사무소 이로재의 승효상 대표는 "국방부가 도심에 있을 이유가 없다"면서 "국방부가 외곽으로 나가고 그 터까지 공원이 돼야 (용산공원이) 완전한 국가공원, 도시공원이 된다"고 말했습니다.
국토부 관계자는 "정확한 현장조사가 필요한 부분은 미래세대의 요구를 반영하도록 확정적 설계안을 최대한 지양하겠다"면서 "용산공원 발전방향을 논의할 심층 토론회를 정례화하고 서울시 등과 실무협
국토부의 기본방향에 대해 서울시 관계자는 "실무협의 등을 강화한다는 점에서 긍정적"이라면서 "국방부 청사 등을 공원 터로 지정하고 내년 미군의 기지이전이 완료되면 세부조사를 거쳐 천천히 조성계획을 수립해야 한다는 시의 입장은 변함이 없다"고 말했습니다.
[MBN 뉴스센터 / mbnreporter01@mb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