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 위안부 합의문에서 가장 논란이 된 '불가역적 해결'이란 문구 결과 보고서에 따르면 이 '불가역적'이라는 표현은 우리 측이 먼저 사용했던 걸로 드러났는데요. '되돌릴 수 없는 사죄'라는 의미에서 제안했던 문구였는데, 협상 과정에서 일본 측의 요구를 받아들이면서 의미가 완전히 바뀌었습니다. 외교부는 잠정 합의 직후 '불가역적'이라는 표현의 삭제가 필요하다는 의견을 당시 청와대에 전달했는데요. 하지만, 청와대는 이를 묵살했습니다.
한편, 위안부 합의 결과로 탄생한 화해·치유 재단을 설립하는 과정에서 청와대와 정부가 깊숙이 개입한 사실도 드러났는데요. 박 전 대통령은 2016년 1월 여성가족부에 "조용하고 신속하게 재단 설립을 추진하라"라고 지시를 내렸습니다. 그리고 법인설립이 5일 만에 허가된 걸로 밝혀졌습니다.
이뿐만 아니라 위안부 관련 기록물의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 추진 지원사업도 박 전 대통령의 지시로 중단된 걸로 나타났는데요. "위안부 기록물 유네스코 등재 지원 사업에 정부 색을 없애라"는 지시를 내렸고, 여성가족부의 예산 지원도 중지시킨 사실이 확인됐습니다. 한·일간의 협상 경과가 낱낱이 공개되면서 앞으로 한·일 관계의 중요한 변수로 작용할 건지 전망되는 대목입니다.
계속해서 대담 이어가시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