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논에서 일본계 벼 품종이 완전히 퇴출된다.
지난달 정부가 일본의 무역 보복 조치에 맞서 2023년까지 일본계 벼 품종 보급을 중단하겠다고 밝힌 데 따른 후속조치로 전국 광역단체중 첫 이행 계획으로 평가되고 있다.
경기도는 도내에서 생산하고 있는 쌀의 63%를 차지하는 일본계 벼 품종을 국산으로 대체하기 위해 다양한 보급 방안을 추진하겠다고 21일 밝혔다.
당장 올해부터 일본계 벼 품종인 아끼바레(추청)와 고시히카리를 전년 대비 70t 축소하는 등 단계적으로 일본계 벼 품종을 줄여나가기로 했다. 현재 경기도 농가는 추청 1500t, 고시히카리 500t 정도를 매년 종자로 사용하고 있다. 일본계 벼 품종을 줄이는 대신 국산 품종인 삼광과 맛드림 종자 등을 확대·보급하기로 했다.
이와함께 경기도는 다수확 품종으로 분류돼 정부 보급종에 선정되지 못한 경기도 개발 참드림 종자를 경기도 종자관리소 재배지에서 50t 가량 생산해 공급하기로 했다.
민간이 개발한 품종이 널리 보급될 수 있도록 관련 지원도 확대된다. 민간업체가 할 수 없는 종자의 건조·소독, 이물질 제거, 포장 등을 하는 정선 작업을 대행하기로 한 것.
농업회사법인 향미나라의 김응본 대표는 "종자 생산에 있어 정선 과정은 매우 중요하나 비용이 많이 들어 민간에서는 정선시설을 갖출 수 없는데 경기도가 이를 해결해 줬다"면서 "민간 벼 종자 개별에 활력을 줘 일본계 품종을 국산으로 대체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따라 내년에 민간에서 여주에 공급할 예정인 진상미 150t도 정선을 받을 수 있게 됐다. 여주쌀 전체 종자의 30%를 차지하는 진상미는 지난해까지 여주 농민이 종자를 자체 생산해왔다.
박종민 경기도 종자관리소장은 "하루빨리 경기도 쌀의 품종을 국산 개발 종자로 대체하기 위해 모든 시설과 인력을 최대한 활용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앞서 정부는 지난달 23일 일본계 벼 품종 종자의 정부보급을 2023년까지 완전히 중단하겠다고 밝혔다.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벼 재배면적은 73만7770ha로 이 중 10.3%의 면적을 일본계 벼 품종
일본이 1950년대 개발한 추청이 6만ha로 8.1%, 고시히카리가 1만2925ha로 1.8%, 히토메보레가 2324ha로 0.3%를 차지하고 있다.
국내 1인당 쌀 소비량 61kg을 기준으로 하면 서울지역 소비자들이 6개월 동안 먹을 수 있는 양이다.
[수원 = 지홍구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