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은 고분양가 논란에도 높은 청약경쟁률을 보이며 분양 완판행진을 이어가고 있는 서초구 반포동 일대 모습 |
12일 부동산114에 따르면 올해 1월~7월 누적 기준 전국 시·도 중 3.3㎡ 당 1000만원을 넘어선 곳은 총 5곳이다. 서울이 3.3㎡당 2158만원으로 가장 높았고, 이어 ▲대구(1220만 원) ▲부산(1104만원) ▲경기(1097만 원) ▲인천(1020만원) 순으로 나타났다. 이들 5개 지역 평균가격이 전국 평균 분양가격(3.3㎡당 1018만원)의 상승을 견인했다.
특히 이번에 처음 3.3㎡당 분양가가 1000만원을 넘은 대구의 경우 수성구 범어동 일대 아파트 분양가(3.3㎡당 1500만~1600만원)가 대구의 평균가격을 끌어올린 것으로 나타나 같은 대구시내라도 분양가 차이가 컸다.
범어동은 전통적으로 대구시내에서도 초·중·고교 학군이 우수하고, 기존 노후주택이 많아 신규 분양단지에 대한 갈아타기 수요도 많아 최근 분양아파트 청약 경쟁률은 적게는 수십, 많게는 수백 대 일을 기록하기도 했다.
하지만 범어동 일대 S중개사무소 관계자는 “범어동에서 공급된 아파트 분양가가 최근 1년 사이 3.3㎡당 100만~200만원 가량 오르면서 소형면적도 단기간 수천 만원이 올라 가격 부담이 큰 상황”이라며 “단기 차익 목적으로 분양권을 매입하기에는 상승 여력에 한계가 있어 보인다”고 전망했다.
주택업계는 고분양가에 대한 정부의 규제가 속속 발표되고 있는 만큼 과거의 위기 경험을 반추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다.
정부가 급증하는 가계대출 우려감에 지난 1일부터 모집공고하는 신규 분양단지에 대한 중도금 집단대출 규제에 나선데다 영국의 브렉시트(Brexit, 유럽연합 탈퇴) 등으로 대외 경기불안까지 겹친 최근 주택시장이 지난 2007년~2008년 국내외 버블논쟁이 격화된 이후 글로벌금융위기를 맞으며 매매가격과 분양가가 크게 떨어졌던 상황과 비슷하다는 것이다. 당시 분양가 상한제를 피한 고분양가 분양단지가 쏟아지면서 준공후 미분양물량이 급증한 바 있다.
오는 2017년~2018년 약 70만 가구가 입주를 예정한 것도
윤지해 부동산114 연구원은 “정부차원의 중도금 집단대출 규제와 함께 부동산시장의 연착륙을 유도할 수 있는 정책적인 안배 노력이 더욱 필요하다”고 말했다.
[디지털뉴스국 조성신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