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스마트워치 신제품 '갤럭시워치 액티브2'에 심전도 측정 센서(ECG)가 탑재되지만, 한국 소비자들은 국내 의료기기 규제 때문에 이 기능을 활용할 수 없을 전망이다. 지난해 출시된 애플워치4도 심전도 측정 기능을 갖춰 눈길을 끌었지만 한국에서 판매되는 애플워치4에는 심전도 측정 기능을 사용할 수 없도록 돼 있다. 삼성전자 갤럭시워치 역시 해외 제품에는 심전도 모니터링과 원격의료를 적극 접목할 예정이지만, 국내 판매용 제품은 '식품의약품안전처 의료기기 허가'라는 벽에 막혀 심전도 기능은 '그림의 떡'이 됐다.
삼성전자는 7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에서 열리는 '갤럭시노트10 언팩'에서 갤럭시노트10과 함께 갤럭시 워치 액티브2, 태블릿 신제품 갤럭시탭 S6를 공개할 예정이다. 갤럭시워치 액티브2는 스마트폰과 빅스비, 녹스 등 기존 갤럭시 하드웨어·소프트웨어와의 연결성을 강화하고, 운동·스트레스·수면 등 균형 잡힌 건강 관리에 최적화된 제품이라는 것이 회사 측 설명이다. 고동진 삼성전자 IM부문장(사장)은 "삼성전자는 지속 성장하고 있는 스마트워치 시장에 새로운 비전을 제시하며 입지를 높여 나가고 있다"며 "'갤럭시 워치 액티브2'는 소비자의 건강과 웰니스(Wellness)를 증진을 돕고, 기기 간 연결과 갤럭시 생태계 경험을 통해 소비자의 삶의 편리성을 더할 것"이라고 말했다.
갤럭시워치 신제품에서 가장 관심을 모으는 것은 심전도 측정 기능이다. 심전도란 심장의 수축에 따른 활동 전류를 곡선으로 기록한 것을 말한다. 건강한 사람들은 맥이 규칙적으로 뛰지만 '부정맥' 환자들은 맥이 불규칙하거나 빠르거나 느린 증상을 보인다. 양필성 분당차병원 심장내과 교수는 "부정맥은 특정 질환명이 아니라 맥이 정상인과 다른 수십가지 질환을 통칭하는 용어"라며 "늘 착용하는 스마트워치에 심전도 측정 기능이 있다면, 환자가 '두근거림' 등의 증상을 느낄 때 심전도를 측정하고 즉각 병원을 찾아 의료진에게 측정결과를 보여줄 수 있어 아주 유용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같은 부정맥이라도 돌연사할 수 있는 질환이 있고 경과를 관찰하거나 약물치료를 해야 하는 질환 등 다양한 상황에서 의료진이 맞춤관리하는 데 스마트워치의 심전도 측정 기능을 활용할 수 있다는 이야기다. 현재 병원에서 부정맥을 진단하려면 24시간 동안 심전도 기기를 착용하고 검사를 받아야 한다. 비용과 시간도 문제지만 열흘에 한 번 혹은 2주에 한 번씩 증상이 나타나는 부정맥 증상을 모니터링하기에는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 많았다.
이처럼 유용한 기능이지만 국내법상 심전도를 측정하려면 의료기기 허가를 받아야 한다. 삼성전자는 올 초 미국 식품의약국(FDA)로부터 심전도 측정 센서 기술을 승인받았지만, 본지 확인결과 6일 현재 식약처에 의료기기 허가 신청을 한 적은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의료기기 허가를 받기 위해서는 심사를 거쳐야 한다. 이에 대해 삼성전자 관계자는 "하드웨어상 심전도 측정 센서가 탑재된 것은 맞다"며 "국내 출시 제품에도 도입할 지 여부는 출시 시점에 안내될 것"이라고 밝혔다. 국내 출시일은 아직 미정이다.
국내 기업 휴이노도 애플보다 3년 먼저 심전도 측정 시계를 개발하고도 올해 의료기기 허가를 받았고, 규제 샌드박스를 통과해 오는 10월부터 고대 안암병원과 환자모집(2000명 한정)에 들어간다. 세계는 원격의료를 위해 전력질주하고 있는데, 한국은 여전히 규제가 발목을 잡고 있는 형국이다. 작년 출시된 애플워치4는 현재 약 29개국에서 서비스되고 있다.
한편 갤럭시 워치 액티브2는 이밖에 달리기, 걷기, 자전거, 수영, 로잉 머신 등 7개 종목을 자동 측정하고 총 39개 이상의 운동을 기록·관리할 수 있다. 향상된 수면 분석 알고리즘을 탑재해 보다 정확하게 4단계의 수면 상태를
[신찬옥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