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맞춤형학과 학생 선발에 기업도 참여한다
↑ 사회맞춤형 학과/사진=연합뉴스 |
기업이 원하는 '맞춤형 인재' 양성을 위해 '사회맞춤형학과'의 학생 선발 때부터 기업이 참여하고 교재와 교육과정도 학교와 기업이 공동 개발합니다.
이영 교육부 차관은 4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이런 내용을 담은 사회맞춤형 학과 활성화 방안을 발표했습니다.
사회맞춤형학과는 산업체 요구를 반영한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취업과 연계하는 학과입니다.
운영 방식에 따라 채용조건형 계약학과와 주문식 교육과정으로 나뉩니다.
채용조건형 계약학과는 특정 기업에 맞는 교육과정을 개설한 학과로, 졸업생은 해당 기업에 채용됩니다.
성균관대의 반도체시스템 공학과가 이런 사례로, 졸업생은 삼성전자에 입사하게 됩니다.
2003년 도입돼 지난해 기준 34개 대학 73개 학과에서 1천813명의 학생이 있습니다.
2015년 기준 취업률은 91.4%로 높은 편이지만 참여 기업이 341개로 그다지 많지 않습니다.
주문식 교육과정은 기존 학과에 산업체에 필요한 별도의 교육과정을 대학이 자율적으로 운영하고 기업은 해당 학생들의 취업을 우대·알선하는 형식입니다.
1994년 영진전문대에 처음 도입된 이래 64개 대학 173개 학과에서 5천600여명을 교육하고 있습니다.
주문식 교육과정은 그동안 대학 중심으로 교육과정이 구성·운영되다 보니 산업체의 요구가 잘 반영되지 않았습니다. 그에 따라 참여 기업은 1천190곳이지만 해당 기업에 취업률은 32.6%로 채용연계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지적됐습니다.
이런 문제를 보완하기 위해 앞으로는 사회맞춤형학과의 학생 선발 과정에 산업체가 면접에 참여하거나 선발 기준을 제시하는 등 산업체와 대학이 학생을 공동선발하게 됩니다.
교육과정과 교재도 대학과 산업체가 공동 개발하고 산업체가 필요로 하는 교육을 할 수 있도록 산업체 전문가를 교원으로 활용합니다.
대신 산업체는 이런 교육을 받은 학생을 졸업과 동시에 해당 산업체나 협력업체에 채용하게 됩니다.
이미 한동대의 현대자동차 트랙에서는 학생 선발 때 현대차의 신입사원 채용절차와 같은 기준이 적용되고 있습니다.
채용조건형 계약학과는 채용 연계성은 강하지만 장기간 투자에 따르는 비용 부담과 정보 부족으로 기업의 참여가 소극적이라는 문제가 있었습니다.
사회맞춤형학과의 절반 이상(56.9%)이 수도권에 집중되는 등 지역 편중도 심했습니다.
기업의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 현재 권역별로 학생을 모집하는 채용조건형 계약학과는 모집단위가 전국으로 확대됩니다.
사회맞춤형 학과 운영에 드는 기업의 비용 부담을 줄여주기 위해 법 개정을 통해 세액을 감면하고 고용노동부와 협의해 훈련비 환급 대상을 확대하는 방안도 추진합니다.
2017년부터 대학재정지원을 통한 사회맞춤형학과 운영을 확대하고 지방자치단체와 지역기업, 대학 간 협의체를 구성해 운영하는 등 지역대학 참여를 늘리기 위한 대책도 마련합니다.
분야도 공학계열 위주에서 인문·사회, 문화·
교육부는 이번 방안으로 2020년에는 사회맞춤형 학과 학생을 2만5천명까지 늘리고 2015년 기준 32.6%인 주문식 교육과정의 연계 취업률은 70%까지 끌어올리겠다는 목표를 세우고 있습니다.
[MBN 뉴스센터 /mbnreporter01@mb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