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 원장은 21일 서울 여의도동 금융감독원에서 열린 임원회의에서 "은행 부실채권의 신속한 정리를 통한 자산 클린화와 함께 적정 수준의 대손충당금 적립 등 내부 유보를 확충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저성장 장기화로 신규 부실채권 규모가 2014년 23조6000억원대에서 지난해 28조1000억원대로 급증했지만 대손상각이나 매각 등 방식으로 부실채권을 정리한 규모는 같은 기간 25조1000억원대에서 22조3000억원대로 감소했다는 자체 통계도 진 원장은 새삼 꺼내들었다.
회생 불능 기업의 여신에 대한 회계상 손실 인식(대손상각)이나 '헐값 매각' 논란이 불가피한 채권의 시장 매각을 감행하기에는 은행들의 미련이 여전하다는 점을 꼬집은 것이다.
진 원장은 "은행 건전성이 나빠진 이유는 기업 구조조정 등으로 부실여신은 증가한 반면, 대손상각이나 매각 등 부실채권 정리가 다소 저조한 데 기인한다"며 "은행 부실채권이 늘어나는 경우 실물 부문에 대한 원활한 금융지원이 어려워질 뿐만 아니라 경제 회복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간 임종룡 금융위원장과 진 원장은 기업 구조조정의 대원칙으로 "엄정한 옥석 가리기"를 내걸어왔다. 충분한 자구 의지를 갖춘 '살릴 수 있는' 기업은 살리되, 회생 가능성이 희박한 '좀비기업'은 과감하게 퇴출시켜야 한다는 얘기다. 하지만 금융당국은 옥(玉)을 골라내는 데 주력했을 뿐 석(石)을 가려내는 모습을 보여주지 못했다는 게 금융권과 재계의 평가다.
진 원장은 2014년 11월 취임한 이래 최근까지 청와대와 금융위원회의 '혼연일체(渾然一體)' 요구에 부응해 금융개혁의 한 축인 검사·제재 개혁을 현장에서 진두지휘해왔다. 최수현 전 금감원장 퇴임 직후 취임한 진 원장은 "내가 지금 무슨 말을 할 수 있겠나"라며 한동안 목소리를 내지 않겠다고 기자들에게 전한 바 있다.
하지만 최근 부실기업이 급증하고 중국발 쇼크와 북한 리스크 등 대내외 리스크 요인이 빈발하면서 '비 올
박근혜 대통령 공약에 따라 별도 기구화될 예정이었던 금융소비자보호조직이 금감원 내부의 부원장급 조직으로 개편되는 등 최근 대대적인 조직 개편에서 비롯된 내홍을 다잡아야 한다는 책임감도 거들었다.
[정석우 기자][ⓒ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