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을 계기로 정치권에는 한바탕 거센 '쓰나미'가 불가피해졌습니다.
특히 기대 이하의 참패를 겪은 신당은 핵 분열의 위험에 직면할 전망입니다.
강상구 기자가 분석했습니다.
대선 패배로 범여권은 안팎의 위기에 직면했습니다.
우선 외부로부터의 위협.
범여권이 주도해 통과시킨 이른바 '삼성 비자금 특검법'이 부메랑이 돼 돌아올 수 있습니다.
'노무현 대통령의 당선축하금', '이회창 후보의 2002년 대선잔금' 문제가 수사 대상에 포함돼 있는 탓입니다.
대선용으로 급조된 정당이기에 내부로부터의 원심력은 더욱 세차게 휘몰아칩니다.
대선 패배에 대한 책임론이 즉각 제기될 수 있습니다.
문제는 그 책임의 소재입니다.
한쪽에서는 노무현 대통령에, 다른 한쪽에서는 정동영 후보에게 책임을 돌립니다.
다음달 하순으로 예정된 신당의 전당대회는 그 책임을 둘러싼 한바탕 대회전의 장이 될 가능성이 큽니다.
특히 대권에 실패한 정동영 후보가 '한번 더 기회를 달라'며 당권에 도전할 경우 내부의 충돌은 핵 분열로 이어질 수도 있습니다.
군소후보 수준의 지지율을 얻은 민주당은 그야말로 존폐의 기로에 섰습니다.
향후 정계개편의 파고에서 변수가 되기에도 힘이 달립니다.
끝까지 독자노선을 고집한 문국현 후보도 정치권에 뿌리를 내리기 위한 교두보 확보에는 실패한 것으로 분석됩니다.
총선에 나서기에는 미미한 득표에 그친데다, 범여권 분열의 책임을 피하기 힘들어진 때문입니다.
이회창 후보 역시 신당 창당 방침을 밝히며 총선에서 활로 모색을 선언했지만, 동력이 얼마나 될지는 의문부호가 붙습니다.
총선으로 가는 다리 하나는 확보했지만, 총선 정국이 급속히 한나라당 중심으로 흐를 경우 입지가 흔들리 수도 있고, 반대로 견제 세력으로
한나라당의 독주에 대응할 카드는 이른바 '이명박 특검법'이 유일합니다.
하지만, 국민 절반이 이명박 후보를 차기 대통령으로 선택함으로써 이 역시 더이상 동력을 얻기는 어려울 것이란 분석입니다.
mbn뉴스 강상구입니다.
< Copyright ⓒ mb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