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용등급별 인원분포(KCB 기준) |
신용등급은 금융거래 정보 등을 바탕으로 1~10등급으로 산출된다. 1등급(1~3등급)에 가까울수록 우량 등급이며, 통상 7~10등급은 저신용자로 분류돼 금융거래에 따른 이자비용 증가 등 불이익을 본다.
하지만 앞으로는 나씨처럼 신용평가회사에서 조회한 신용등급과 은행 등 금융기관에서 안내하는 신용등급이 달라 대출시 불이익을 보거나 혼선을 빚는 일이 더 이상 발생하지 않을 전망이다.
16일 금융권 등에 따르면 신용평가회사 나이스(NICE)평가정보에 이어 최근 코리아크레딧뷰로(KCB)가 신용등급 평가 방식을 단일화한 것으로 확인됐다. KCB는 NICE평가정보와 함께 국내 개인신용평가 부문에서 양대 산맥을 이루는 곳이다.
KCB 관계자는 “작년 말부터 6개월 동안 신용평가 방식 단일화에 따른 영향과 검증 작업을 진행해왔다”며 “금융권에서 순차적으로 전환해 지난주부터 모든 회원사(금융권)에서 적용하고 있다”고 밝혔다.
KCB는 그동안 신(新)·구(舊) 신용평가모형 모두를 사용하면서 신용등급을 놓고 적지 않은 혼선을 초래해왔다. 건강보험납부이력 등 비금융정보를 반영하는 새로운 신용평가모형(K-score)에 따라 산출된 신용등급과 기존 모형에 따른 신용등급을 병행한 것. 특히 새로운 모형이 신용평가에 긍정적인 정보를 많이 반영하면서 기존 모형에 따른 신용등급과 격차가 발생, 이에 따른 소비자 혼선과 불만이 잦았다.
신용평가회사가 평가한 개인 신용등급을 대출 심사에 활용하는 금융권 역시 KCB의 이원화된 신용등급 산출 방식과 그 결과로 나타난 신용등급간 격차 때문에 소비자 민원이 끊이지 않았다. 실제 확인한 결과 우리은행, KB국민은행, KEB하나은행 등 시중은행을 비롯해 삼성카드, 현대카드, 신한카드, 롯데카드, KB국민카드, 하나카드 등 신용카드사, 그리고 현대캐피탈, 아주캐피탈, JB우리캐피탈 등 캐피탈사를 포함한 저축은행까지 금융권 전반에서 KCB의 구평가모형을 기반으로 산출된 신용등급을 대출 심사에 활용했다.
국민연금이나 건강보험, 통신료 납부 이력 등 신용평가에 비금융정보를 많이 반영해 신용등급 상승 기회가 보다 많은 KCB의 새평가모형을 사용한 곳은 신한은행 등 극히 일부에 그쳤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금융거래정보 외에 비금융정보를 잘 관리해 신용등급을 높였더라도 금융권 대출에서 실제 이자부감 경감은 기대하기 어려웠다. 비금융정보를 활용한 신용관리를 통해 신용등급을 끌어 올려도 금융권에서는 이를 대출 심사에 반영하지 않았던 까닭이다. 즉 금융권 입장에서는 연체 등 부실 위험에 대비하기 위해 보다 보수적으로 평가한 신용등급을 대출 심사에 활용해야 했고, 비금융정보를 반영한 신용등급은 ‘무용지물’이 됐던 셈이다.
하지만 KCB가 신용등급 산출 방식을 비금융정보를 반영한 새로운 평가모형에 기반한 케이스코어(K-score)로 단일화함에 따라 상황은 달라졌다. KCB가 기존 신용평가 방식에
한편 정부는 올해 초부터 공공요금이나 통신료만 성실히 내도 신용평가에 가산점을 주는 제도를 시행해오고 있다.
[디지털뉴스국 전종헌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