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고심 끝에 대책을 내놨지만, 교육 현장의 반응은 냉랭합니다.
일선 교사나 학부모 가운데는 대책의 실효성에 의문을 제기하기도 했습니다.
계속해서 이권열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 기자 】
▶ 인터뷰 : 이명주 / 중학교 3학년
- "담임 선생님이 많아진다는 것은 아이들을 감시하는 (사람이) 많아진다는 건데 학교 폭력 자체가 아이들을 감시한다고 해결될 문제가 아니라…."
▶ 인터뷰 : 장재영 / 중학교 2학년
- "강제 전학을 시킨다고 해도 가해자 자신이 잘못을 뉘우치지 않으면 다른 학교에 가서도 또 그런 짓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학생들의 반응은 차가웠습니다.
학생들 사이에 발생하는 폭력을 교사들이 알기는 어렵다는 겁니다.
이번 대책이 학교 현장에 제대로 자리 잡을지 의문을 표시하는 학부모와 교사도 많았습니다.
▶ 인터뷰 : 김동석 / 한국교총 대변인
- "정부에서 약속한 업무 경감을 통해서 일대일 면담 부분을 강화할 수 있도록 반드시 (대책이) 뒤따라야 할 것이고…."
가해자에 대한 처벌 수위가 강화된 것에 대해서도 비판이 잇따랐습니다.
경기도 교육청은 생활기록부에 학교 폭력 사실을 적는 것에 반대 입장을 나타냈고, 의료계는 정부를 비판하는 성명을 발표했습니다.
▶ 인터뷰 : 이영식 / 소아청소년정신의학회 이사
- "한 인생에 낙인을 찍는 결과가 발생하기 때문에 되도록이면 낙인 찍는 건 최후에, 여러가지 정신 의학적 판단도 하고…."
▶ 스탠딩 : 이권열 / 기자
- "경쟁을 강요하는 입시 위주의 교육 체제가 바뀌지 않으면 학교 폭력을 근절하기 어렵다는 지적도 있습니다."
▶ 인터뷰 : 김선혜 / 평화여성회 갈등해결센터
- "학교와 우리나라 교과 과정 전체가 나만 잘사는 것이 아니고 나와 다른 사람이 어떻게 어울려서 잘 살아야 하느냐, 이것을 가르치고 배우는 (것으로 바뀌어야….)"
학교 폭력을 뿌리 뽑으려면 이번 대책이 마지막이 아닌 시작이 되어야 한다는 여론이 높습니다.
MBN뉴스 이권열입니다.<2kwon@mb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