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년 전력수요 예측 믿을 수 있나…일각서 '맞춤형 통계' 의혹도 제기돼
우리나라의 전력수요가 과거와 달리 앞으로는 큰 폭으로 늘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습니다.
기존 전력수급계획에 따라 전력 생산설비가 확충되는 만큼 이처럼 전력수요 전망이 크게 감소하게 되면 추가 설비 확충에 대한 부담이 줄어들게 됩니다.
노후 전력설비도 어느 정도 여유를 갖고 폐쇄할 수 있습니다.
'친환경 탈핵'을 천명한 새 정부로서는 관련 정책 추진에 한층 탄력을 얻을 수 있게 됐습니다. 전력수급 문제에 대한 걱정을 덜면서 원전이나 석탄화력발전소를 줄여나갈 여지를 갖게 된 셈이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불과 2년 사이에 전력수요 전망치가 크게 달라진 점과 관련해 수요 예측을 믿을 수 있느냐는 의문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새 정부의 정책에 맞춰 수요전망을 크게 낮춘 것이 아니냐는 의혹입니다.
민간 자문가 그룹으로 구성된 '(전력)수요 전망 워킹그룹'은 13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회의를 열고 제8차 전력수급기본계획(2017~2031년) 관련 전력수요 전망치 초안을 공개했습니다.
정부는 중장기 전력수급 안정을 위해 15년 단위의 계획을 2년마다 수립하고 있습니다. 이 같은 전력수급기본계획에는 경제성장률, 전기요금 명목가격, 소비 패턴, 연료비 전망, 기온 변화 요인 등이 두루 반영됩니다.
전력수급기본계획 수립에서 가장 기초가 되는 요소는 '전력수요'입니다. 전력수요 전망 결과를 토대로 설비건설 등 전체 전력수급의 틀이 짜이기 때문입니다.
수요전망 워킹그룹 회의는 전력수급기본계획 수립의 첫 단추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후 전력설비 워킹그룹 회의, 수요관리 워킹그룹 회의, 세미나, 공청회 등 여러 과정을 거쳐 올해 말까지 최종 계획안이 마련됩니다.
이날 발표된 안의 핵심은 2년 전 예측한 제7차 전력수급기본계획(2015~2029년)보다 전력 수요 전망치가 크게 낮아질 것이라는 점입니다.
유승훈 서울과기대 에너지정책학과 교수는 회의 후 가진 브리핑에서 "2030년 전력수요는 7차 계획 대비11.3GW(113.2GW→101.9GW)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밝혔습니다.
전력수요 전망이 이처럼 과거 대비 크게 떨어진 것은 이번이 처음입니다. 지난 7차 계획 때도 6차 계획보다 다소 하락했지만 이번처럼 감소 폭이 크지는 않았습니다.
유 교수는 이처럼 8차 계획의 수요전망이 크게 줄어들게 된 가장 큰 이유로 국내총생산(GDP)의 하락을 꼽았습니다.
8차 계획에 반영된 GDP 전망치는 7차의 3.4%보다 0.9%포인트 감소한 2.5%였다. GDP는 전력수요 전망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수(약 70%)입니다.
수요 전망 워킹그룹은 GDP 전망을 연평균 2.5%에서 2.7%로 올리더라도 2030년의 최대 수요는 104.5GW에 그칠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역시 7차 계획 2030년 전망보다는 8.7GW가 적은 수치입니다.
회의 참석자인 김창식 성균관대 교수는 "고도 성장기 때와 GDP 2.5% 시대의 전력 수요 패턴은 다를 수밖에 없다"며 "미국은 오히려 전력수요가 감소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 그룹은 이번 수요 전망을 하면서 전기요금 명목가격(원/㎾h)이 2030년까지 크게 오르리라는 가정도 반영했습니다.
김 교수는 "전기요금 명목가격은 2017년 112에서 140으로 오를 것으로 보인다"며 "다만 명목가격에 물가상승률을 반영한 실질가격은 2030년에 2017년 대비 다소 떨어질 것으로 전망된다"고 설명했습니다.
이날 전력 수요 전망안이 8차 계획에 대부분 반영된다면 그간 각계에서 제기된 신고리 5, 6호기 건설 중단 비용도 다시 계산돼야 합니다. 지금까지 건설 중단 비용 계산은 7차 계획을 토대로 삼았기 때문입니다.
실제로 자유한국당 김규환 의원은 신고리 5·6호기 건설 중단에 따른 전기요금 원가상승 요인이 약 9조2천527억원에 달한다고 추산한 바 있습니다.
이 금액은 신고리 5·6호기가 정상적으로 상업운전을 시작하는 2023년부터 제7차 계획이 끝나는 2029년까지 7년간 신고리 5·6호기 설비용량과 원전 이용률, 2015년 원전과 액화천연가스(LNG)의 판매단가 차액(63.4원)을 합산해 추정됐습니다.
또 신고리 5, 6호기가 각 1.4GW 용량이라는 점을 고려해서 단순하게 추산한다면 2030년 기준으로 7차 계획 때보다 신고리 5호기 8기가 덜 필요하다는 계산이 나옵니다.
유 교수는 "우리는 순수하게 수요 전망만 이야기 나눴을 뿐이며 설비 계획 등에 대한 부분은 다른 워킹그룹에서 논의할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한편, 정부 에너지 정책을 결정하는 수요전망이 2년새 급격히 바뀐 점에 대해서는 탈원전 정책을 고려한 '맞
김 교수는 이번 수요 전망 예측 작업 과정에 정부가 가이드라인을 제시했느냐는 질문에 "전혀 없었으며 우리는 작년 11월부터 수요 전망 관련 수치를 논의하기 시작했다"며 "오늘 발표 내용은 정부의 탈원전 정책과 관련이 없다는 점에 대해 학자적 양심을 걸고 말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MBN 뉴스센터 / mbnreporter01@mb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