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GIST 뉴바이올로지 전공 황대희 교수(사진 왼쪽)와 뇌·인지과학전공 이성배 교수. |
3일 디지스트에 따르면 뇌·인지과학전공 이성배 교수팀과 뉴바이올로지전공 황대희 교수팀이 미국 하워드휴스의학연구소(HHMI) 유넝 잔 교수와 공동연구를 통해 폴리글루타민 독성 단백질의 구조적 특징이 퇴행성 뇌질환에 미치는 초기 신경병리 기전을 세계 최초로 규명했다.
연구팀은 헌팅턴 무도병, 척수소뇌변성증 등 퇴행성 뇌질환을 유발하는 폴리글루타민 독성단백질이 전화선처럼 꼬여 만들어지는 '코일드코일(coiled coil)구조'가 엉기며 신경세포의 급격한 형태 변형과 초기 신경병 발생에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폴리글루타민 독성단백질의 코일드코일 구조는 다른 단백질들의 코일드코일 구조와 비정상적으로 결합하는 특징을 지닌다.
이를 통해 이성배·황대희 교수팀은 신경세포 내 폴리글루타민 독성단백질 코일드코일 구조가 수상돌기(신경세포 세포체에서 뻗어 나온 돌기의 한 종류로 신경입력을 받아 세포체로 전달하는 기능) 형성을 조절하는 전사인자(유전자를 이루는 물질이 핵산에 붙어 특정유전자가 발현되거나 억제되도록 하는 유전자 발현 조절 단백질)인 'Foxo단백질'과 결합해 초기 신경병증을 일으킨다는 것을 규명했다.
이번 연구를 바탕으로 추가 인자 규명에 집중한다면 향후 관련 연구에 속도가 붙을 것으로 연구팀은 기대했다. 현재 퇴행성 뇌질환 발병과 병의 심화과정을 규명하기 위해 많은 과학자들이 연구에 몰두하지만 아직까지 정확하게 밝혀진 바가 적다.
이성배 교수는 "이번 연구를 바탕으로 향후 코일드코일 구조 기반 엉김 현상만을 겨냥한 치료제를 개발한다면 퇴행성 뇌질환이 발병한 초기에 병증을 완화할 수 있는 효율적 치료가 가능하리라 기대된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디지스트 뇌·인지과학전공 권민지, 한명훈 석박사통합과정 학생이 공동 제1저자로 참여했다. 연구 결과는 세
[대구 = 우성덕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