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성인 10명 중 7명은 경증질환으로 대형병원을 이용한다면 진료비를 더 내야 한다고 보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대형병원 이용자 10명 중 6명은 중소형병원의 권유나 수술·입원이 필요한 중병·사고 등 합당한 이유로 대형병원에 간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은 지난 8월 전국 성인남녀 3천70명을 대상으로 의료기관 이용 현황과 의식을 조사하고 결과를 오늘(7일) 공개했습니다.
경증으로 대학병원 이용하면 진료비나 약값을 더 내는 것에 대한 입장을 물은 결과, '대학병원을 이용하는 사람이 비용을 더 부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응답은 70.8%로 '대학병원에 가든 동네의원에 가든 동일한 비용을 부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응답(20.1%)보다 3배 많았습니다. 9.0%는 '잘 모르겠다'고 답했습니다.
부담 가중이 바람직하다는 응답은 20대에서 50대로 올라갈수록, 거주 지역 규모가 클수록, 교육 수준이 높을수록, 가구소득이 많을수록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습니다.
응답자의 92.1%는 최근 1년 이내 치료·검사·검진을 받기 위해 한 번이라도 의료기관을 이용한 적이 있었습니다. 방문 의료기관(복수응답)은 '동네의원' 85.3%, '치과의원·치과병원' 56.3%, '병원·종합병원' 48.0%, '한의원·한방병원' 33.8%, '보건소' 19.6%, '상급종합병원' 16.0%였습니다.
상급종합병원 이용 사유는 '동네의원이나 중소병원 의사의 의학적 권유'가 34.2%로 가장 많았고, '입원이나 수술이 필요한 큰 병에 걸리거나 사고를 당해서'(25.8%)가 두 번째였습니다. 이용자 10명 중 6명은 의학적 권유나 중병으로 대형병원을 이용한 것입니다.
하지만 '의학적 소견은 없었으나 상급종합병원에서 치료나 검사·검진을 받고 싶어서'(16.8%), '동네의원이나 중소병원을 믿을 수가 없어서'(11.0%), '의료비가 낮아져서 이왕이면 상급종합병원에서 치료를 받으려고'(1.8%) 등의 의견도 있어, 질병의 경중에 상관없이 대형병원을 선호하는 경향도 여전했습니다.
최근 1년 이내 의료 이용량이 증가했는지 조사한 결과, 55.7%는 '1년 전과 비슷했다', 27.1%는 '늘어났다'고 답했습니다. 이용량 증가의 주된 이유는 '없었던 질병이 생겨서 치료나 검사·검진을 받으려고'(76.8%)였다. '특별히 아픈 곳은 없으나 의료비가 낮아져서'(4.8%)라는 응답은 많지 않았습니다.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 정책으로 대형병원을 이용하는 환자가 많아졌다는 주장에 대해서는 '비용 부담으로 그간 치료를 못 받았던 사람들의 이용이 늘어난 것'이라는 평가가 49.8%로 '경증질환임에도 이용하는 사람들이 늘어났다'는 의견(37.6%)보다 많았습니다.
문재인 케어는 건강보험의 보장성을 강화해 환자의 의료비 부담을 줄여주는 정책입니다. 하지만 의료이용 문
보건당국은 이런 부작용을 완화하기 위해 감기 등 가벼운 질환으로 대형병원을 찾아가 외래진료를 받을 경우 본인 부담 의료비를 가중하는 방향으로 의료전달체계를 개선한다는 계획입니다.
[MBN 온라인뉴스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