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악관이 문재인 대통령 당선을 축하하고 협력을 기대했다.
숀 스파이서 백악관 대변인은 9일(현지시간) 성명을 내고 "문재인 대통령 당선을 축하하며, 우리는 평화롭고 민주적인 권력 이양을 이룬 한국 국민들과 함께 한다"고 밝혔다. 스파이서 대변인은 또 "미국과 한국의 동맹을 지속적으로 강화하고, 양국 간 영원한 우정과 파트너십을 심화하기 위해 한국의 새 대통령과 협력할 것을 기대한다"고 말했다.
미국 연방의회도 폴 라이언 하원의장을 필두로 무더기 축하 성명을 내고 문재인 새 대통령과의 협력을 약속했다.
폴 라이언 하원의장과 존 매케인 상원 군사위원장, 에드 로이스 하원 외교위원장, 맥 손베리 하원 군사위원장이 이날 축하성명을 냈고, 벤 카딘 상원 외교위 민주당 간사, 엘리엇 엥겔 하원 외교위 민주당 간사, 코리 가드너 상원 외교위 아태소위원장, 에드워드 마키 상원 외교위 아태소위 민주당 간사가 축하성명 대열에 합류했다.
라이언 의장은 성명에서 "격전에서 승리한 문재인 대통령에게 축하를 보낸다"면서 "한미 양국의 전략적 파트너십은 한반도와 아태지역 안정에 매우 중요하며 특히 핵과 미사일 프로그램을 포함해 현재 진행 중인 북한의 공격에 대응하기 위해 지속해서 협력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마이크 켈리, 제리 코널리, 피터 로스캠, 아미 베라 의원 등 코리아 코커스 공동의장단 4명도 공동성명을 내고 문재인 새 대통령 취임을 축하했다.
코리아 코커스 공동의장단은 "한미관계는 70년 전 한국전쟁을 통해 맺어졌고 지금은 한국이 아태지역 외교정책의 '린치핀' 역할을 하고 있다"면서 "민주주의, 자유시장, 법치 등 우리가 공통으로 추구하는 가치를 지켜나갈 것이며 역내 평화와 번영을 보장하기 위해 북한의 침략에 단호히 맞서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미국 연방의회 의원들의 이같은 무더기 축하성명은 역대 한국 대통령 취임 사례에 비춰볼 때 상당히 이례적이다. 북한의 핵과 미사일 위협이 점증하는 시기인 만큼 한미동맹을 토대로 한 양국 협력이 절실하다는 상황이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한편 미국의 주요 언론들은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정권까지 유지된 대북 강경책에서 대북 포용책으로 전환을 시도할 것이라는 견해를 내놓으며 그 과정에서 트럼프 대통령과 마찰을 일으킬 가능성이 높다고 우려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북한과의 긴밀한 관계를 옹호해온 한국인이 승리했다'는 제목의 기사를 온라인 메인 페이지에 내보냈다. 그동안 문 대통령의 대북관을 비판적으로 보도했던 WSJ는 이 기사에서 "(문 대통령이) 북한과의 경제협력을 강화해 햇볕정책을 부활시키겠다고 약속했다"며 "이런 변화가 서울과 워싱턴 사이의 마찰로 이어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또한 문 대통령이 지난 1월 발간한 저서에서 "문 대통령은 한국이 미국에 '노(No)'라고 얘기할 수 있어야 한다고 말해왔다"며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이후 5개월 동안 지속된 권력 공백을 끝내려 할 것"이라고 한국 정부의 정책 변화를 예상했다.
뉴욕타임스(NYT)도 "문 대통령의 당선은 북핵 이슈로 대치 중인 한반도의 지정학을 흔들 수 있다"며 "이전 정부의 대북 정책과는 근본적으로 달라질 것"이라고 예상했다. 구체적으로 문 대통령이 "남북 대화, 이산가족 상봉, 경제교류 재개 등을 추구할 수 있다"며 "트럼프 행정부로서는 핵심 동맹국이 대북 화해정책을 추구하는 상황에 직면하게 됐다"고 지적했다.
USA투데이는 "그동안 보수적 비판가들은 햇볕정책 부활을 우려해왔다"며
CNN방송은 "문 대통령이 북한과 대화를 재개하면서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사드) 문제로 미국에 도전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예상했다.
[워싱턴 = 이진명 특파원 / 서울 = 박대의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